분당차병원 종양내과 김찬ㆍ전홍재 교수 연구팀과 CMG제약 신약연구소 연구팀은 독일 뮌헨에서 개최되는 유럽암학회(ESMO 2018ㆍ현지시간 19~23일) 에서 공동 연구 중인 차세대 면역항암제 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공동 연구팀은 이날 발표에서 신약 후보물질이 다수의 종양 세포에서 발견되는 단백질 효소인 IDO(indoleamine 2,3-dioxygenase)와 TDO(tryptophan 2,3-dioxygenase)를 동시에 차단하고, 면역관문억제제와 병용 투여 시 치료 효과를 높이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IDO와 TDO는 활성화될 경우 면역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암 세포 내부에 면역 억제 물질인 키뉴레닌을 축적해 면역항암제의 치료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연구팀은 대장암과 간암 세포주를 동종 이식한 종양 마우스 모델에서 이 신약 후보물질을 통해 암 세포만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CD8+ T세포가 증가해 암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와 함께 연구팀은 이 신약 후보물질과 PD1(Programmed cell Death protein 1) 면역관문억제제를 동시 투여 했을 때 치료 반응률이 2배 이상 증가됐으며, 일부 종양은 완전히 소멸되고 전체생존기간도 연장됐다고 발표했다.
현재 대표적 면역항암치료 약물은 PD1과 CTLA(cytotoxic T-lymphocyte?associated antigen 4)를 표적으로 하는 면역관문억제제로 여러 암종에서 약 20%정도의 반응을 보이나, 나머지 80%의 환자에서는 잘 듣지 않아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분당차병원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면역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대장암, 간암, 췌장암 등의 암에서도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면역항암 병용법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난치암 치료의 새로운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김진성 CMG제약 신약연구소장은 “분당차병원과 긴밀한 협조로 진행되고 있는 신약 후보 물질 연구 개발은 차바이오 그룹 내 산학연병 시스템의 효율성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앞으로도 적극적 협력을 통해 면역항암제 개발에 더욱 매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CMG 제약 신약연구소는 저분자 표적항암제 및 면역항암제를 중점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분당차병원을 비롯한 다양한 병원 및 제약사들과 상호 교류를 통한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ㆍ개방형 혁신)’을 통해 신약 개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성남=문민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