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보 처리 방안의 근거가 될 실증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개방 폭과 모니터링 기간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16개 보 가운데 개방하는 보의 수를 기존 10개에서 이번 달에 13개로 늘린다고 4일 밝혔다.
그동안 개방된 보는 모두 10개다. 이 가운데 낙동강 상주보는 잠시 수문을 닫은 상태로, 9월 말 기준으로 개방된 보는 9개다.
이번에 새로 개방되는 보는 한강 이포보, 낙동강 구미보ㆍ낙단보 등 3개다.
한강의 3개 보(강천ㆍ여주ㆍ이포) 가운데 처음으로 이포보가 이날 개방된다.
이포보는 취수제약 수위인 26.4m까지 수문이 열린다. 11월 10일 이후에는 겨울철 지하수를 이용한 수막 재배를 위해 이포보 수위를 올릴 계획이다.
한강 강천보와 여주보는 주변에 대형 취수장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 개방 계획을 검토할 방침이다.
낙동강에서는 8개 보(상주ㆍ낙단ㆍ구미ㆍ칠곡ㆍ강정보령ㆍ달성ㆍ합천창녕ㆍ창녕함안) 가운데 15일 처음 수문을 여는 구미보를 포함해 7개 보가 개방될 예정이다.
낙단보에 대해서는 지역 주민과 개방일을 협의 중이다. 칠곡보는 수문을 열면 취수 장애가 발생할 우려가 제기돼 올해는 개방이 어렵다.
그동안 부분 또는 완전히 개방돼 있던 금강 3개 보(세종ㆍ백제ㆍ공주), 영산강 2개 보(승촌ㆍ죽산)는 10월 중순 이후 완전히 개방될 예정이다.
13개 보 개방은 양수장이 가동에 들어가는 시점인 내년 3월까지다. 이후에는 취ㆍ양수장 대책 등을 고려하고 농민 등과 수위 회복 시기 등을 협의해 개방 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4대강 조사ㆍ평가단은 취ㆍ양수장 제약 수위와 이용 시기, 지하수 이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물 이용에 지장이 없도록 보 개방 수위와 기간을 정했다”고 강조했다.
여주=류진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