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남북정상회담 마지막 날인 20일 “(남북 불가침 원칙의) 제도화 문제를 야당과 긴밀히 협의하며 제도화 방향에 대해 고민 하겠다”고 강조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 마련된 프레스센터 브리핑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사전에 언급한) 불가역적인 단계, 돌이킬 수 없는 상태로 가기 위한 구체적이고 혁신적인 첫발을 떼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윤 수석은 ‘북한은 미래의 핵 포기를 천명하는 반면, 미국은 현재 핵 포기를 요구하는 등 양측의 괴리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고 접점도 반드시 찾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전날 합의 사항의 각론 중 비핵화 문제에 대해서도 “이번 공동선언의 모멘텀을 최대한 살려 잠시 느슨해졌던 북미 간 대화의 끈을 복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 상황과 관련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한을 사흘 전에 받았다. 매우 좋은 소식이다. 엄청난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며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도 ‘트럼프 대통령 첫 임기 내 비핵화 완성 등 북미 간 근본적 관계 전환 협상에 즉시 착수한다’고 발표했고, ‘유엔 총회에서 만날 것을 리용호 외무상에게 요청했다’고도 공개했다”고 알렸다.
그러면서 “중국의 외교 대변인은 새롭고 중요한 합의에 도달했다고 했고, 러시아 대변인은 실질적, 효율적인 행보를 당연히 지지하고 환영한다고 밝혔다”면서 “일본 관방장관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로 이어지길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소개했다.
한편 윤 수석은 문 대통령의 유엔 총회 참석에 대해서도 “문 대통령은 평양에서 돌아오자마자 다시 유엔 총회 참석을 위해 뉴욕으로 떠난다”면서 “이는 북미 대화의 중재와 촉진 역할을 위한 것으로, 낙관할 수는 없지만 새로운 미래가 만들어지는 건 분명하다. 지켜봐 달라”고 당부했다.
평양ㆍ서울공동취재단=강해인ㆍ정금민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