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평화협력시대 경제중심 인천] 평화의 물결, 인천~개성~해주 ‘황금의 삼각축’ 연다

제목 없음-1 사본.JPG
지난 10년여 동안 경색된 남북관계로 인해 인천시의 대북사업 대부분이 멈춘 상황에서 최근 정부 발 남북관계 개선은 서해 5도와 강화도 등 접경지역을 품은 인천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인천은 제12 연평해전을 비롯해 연평도 포격사건이 일어난 곳이다. 남북 간의 군사적 긴장감이 남아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인천은 인천국제공항을 비롯해 항만과 3곳의 경제자유구역이 집중되면서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음에도 군사적 긴장감 탓에 인천시가 그동안 내세웠던 동북아시아의 중심도시로 뻗어나가는데 걸림돌이 돼왔다. 하지만, 최근 불기 시작한 남북, 북미 정상회담 훈풍은 인천시가 구상하는 ‘서해평화협력시대 동북아 경제중심 인천’의 주춧돌이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 통일 전초기지 인천, 서해평화협력시대 동북아 경제중심 도시로

인천은 통일을 향한 전초 기지로 지목된다. 민선 7기 박남춘 인천시장도 이를 인식하고 서해평화협력시대 동북아 경제중심 인천을 제1 정책으로 추진하겠다고 천명했을 정도다. 대표적인 정책이 인천을 중심으로 한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조성이다. 이는 인천~개성~해주를 잇는 ‘황금의 평화 삼각축’을 중심으로 황해권 경제블록을 구축한다는 것이다.

 

남한의 자본과 북한의 노동력을 통합해 경제통일을 염두에 둔 구상이다. 이를 통해 인천을 중심으로 영종도와 강화를 잇는 도로를 개설하고 향후 강화~개성 간 도로 개설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후 제1·2 외곽순환도로와의 연결을 통해 수도권에서 개성을 거쳐 평양과 남포~신의주를 연결해 서해안경제벨트를 구상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인천시는 서해평화협력의 시대를 맞아 동북아 경제중심도시 인천을 만들기 위해 크게 4가지 방향의 사업을 구상하고 있다. 서해평화협력청 설치, UN 평화사무국 송도 유치 등 조직 부문과 남북 공동경제자유구역 등 경제 부문, 인천-개성간 고려역사문화복원 등 문화 부문, 영종~신도~강화 연도교 등 교통 부문이다.

 

이들 4개 부문은 각기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정부의 정책 방향과 예산지원이 필요한 사업과 시 자체추진으로 가능한 사업, 국제 정세의 변화에 따라 가능한 사업 등으로 구분된다.

 

■ UN평화사무국 유치…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조성 박차

인천시는 UN평화사무국 인천 송도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이는 북미정상회담의 후속 성과로 북한에 대한 UN의 경제제재 조치 해제가 선행돼야 추진 가능할 것으로 관측된다. 서해평화협력청 신설은 현재 시 정책기획관실 산하 남북교류팀을 확대 재편하거나, 새로운 기관을 설립하려면 조례제정 등 정책적인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조성은 인천~개성~해주를 잇는 ‘황금의 평화 삼각축(Golden Peace Triangle)’의 황해권 경제블록 구축이 목표다. 인천~해주~개성을 연계한 남북 공동경제자유구역은 경제자유구역을 담당하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적극적인 도움 없이는 불가능하며 영종~신도~강화 연도교(땅길)·백령공항 건설(하늘길)·인천~남포 항로 개설(바닷길) 등은 국토교통부의 사업추진 의지가 중요하다. 

이에 영종~신도~강화 연도교와 백령공항 건설은 국토부가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사안이라는 점 등이 앞으로 사업 추진에 청신호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이와 연계해 접경지역의 새로운 경제협력 모델로 강화에 교동평화산업단지 조성을 계획하고 있다.

 

교동면에 3.45㎢ 규모로 들어설 교동평화산업단지는 남측의 토지·자본과 북측 노동력을 결합한 생산단지다. 개성공단 생산비용과 남측 생산비용의 중간 수준에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것이 인천시의 구상이다. 해주 경제특구와 개성공단, 남쪽의 교동평화산단이 물류거점의 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서해 5도 주민들… 정부 차원 화해 무드 NLL 해상 파시 실현 기대감

서해 5도 주민들은 정부 차원의 화해 분위기가 민간 차원까지 확대돼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상에서 ‘해상 파시’가 실현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연평도를 비롯한 서해 5도가 긴장의 바다에서 평화의 바다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해상 파시’를 통해 일종의 바다 위 개성공단을 구축해야 한다는 견해에 힘이 실리는 것이다. 통일 이후 서해 5도가 대규모 해상관광단지로의 변모를 꿈꾼다면, 통일을 준비하고 우리 바다를 위협하는 중국어선을 막기 위해서 남북이 협력하는 길이 바로 해상 파시다.

 

해상 파시란 바다 위에 부선(바지선)을 띄워 북한어선이 잡은 수산물과 우리 수산물을 함께 판매하는 해상 시장을 의미한다. 조업은 남·북한이 자체적으로 하되 중간지대에 시장을 열어 교류하면 양 국가 간 경제적 이익을 꾀할 수 있다. 애초 연평도는 조기 파시로 유명했다.

 

연평도 조기 파시는 5~6월에 열렸는데 이때 섬마을에는 어선과 고기를 사는 상선 등 수천 척이 몰려들었다. 선주와 선원, 전주(錢主), 객주(客主), 색주, 색시들이 음식과 술 옷 장사, 선구점, 약사, 이발사 등 인구 3천명에 불과한 섬에 수만 명이 들어와 시장처럼 북적거렸다.

 

서해 NLL(북방한계선) 일대를 남북공동어로구역으로 설정하고 해상 파시 및 한반도 해양평화공원을 조성하려면 남북정상회담에 이은 고위급회담, 실무회담 등 앞으로의 협의가 중요하다. NLL 일대를 재조정하려면 남북 간 군사회담이 선행돼야 하기 때문이다.

 

■ 동북아 문화역사 중심지… 고려역사문화복원 세계문화유산 등재

인천시는 인천을 동북아 문화·역사 중심지로 만들고자 고려역사문화복원을 위해 인천과 개성 간 교류를 시작으로 남북공동조사, 남북학술교류, 역사문화관광자원화를 추진한다. 또 영종도에 한반도 최초의 평화민속촌을 남북이 공동으로 건립해 서해평화시대 문화역사관광의 주요거점으로 만들 방침이다.

 

특히 고려역사문화복원 추진 및 교류 정례화는 지속사업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경색된 남북관계로 인해 중단됐던 사업이기에 현 상황만 꾸준히 이어진다면 남북 간 학술교류가 재개될 가능성이 높다. 고려역사문화 복원이라는 과제는 남북의 공동관심사로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이 고려문화의 북한지역 중심지라면 몽골침입 시 피란수도였던 강화가 남한의 고려문화 유산 중심지이다. 강화도 고려 유적의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이유다. 

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