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양과 질 세대 간 양극화…‘20대 악화 vs 50대 개선’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20대 근로자 수는 줄고 비정규직과 저임금 일자리는 늘어났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8일 발표한 ‘세대 간 일자리 양극화 추이와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20대 임금근로자 수는 2007년 367만 명에서 2017년 355만 9천 명으로 3.0% 감소했다. 반면 50대는 225만 2천 명에서 415만 3천 명으로 84.4% 늘었다.
2012년까지 20대는 근로자 수 기준으로 50대를 앞섰으나 2013년을 기점으로 역전됐다. 이후 5년 연속 50대보다 근로자 수가 적었다.
근로자 수 격차도 늘고 있다. 2013∼2017년 20대 근로자와 50대 근로자 간 격차는 각각 17만 1천 명, 30만 명, 42만 2천 명, 53만 명, 59만 4천 명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일자리 질의 측면에서도 세대 간 격차가 확대됐다. 20대 근로자의 임금이 2007년 138만 원에서 2017년 181만 원으로 43만 원 증가하는 동안 50대는 186만 원에서 271만 원으로 86만 원 증가했다.
이에 따라 20대와 50대의 세대 간 상대 임금 격차는 20대 임금수준을 100으로 볼 때 134.5에서 149.5로 확대됐다.
20대 근로자는 비정규직 비중도 증가했다. 2007년 31.2%에서 2017년 32.8%로 1.6%P 증가했다. 반대로 50대는 정규직 비중이 57.3%에서 66.2%로 8.9%P 늘었다.
경총은 “세대 간 일자리 격차 확대는 노조 협상력에 의한 과도한 임금상승, 연공형 임금체계 수혜, 기존 근로자 고용 보호 강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며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노동시장 유연화, 직무와 성과 중심의 임금체계 도입, 청년 유망 산업 발굴 등의 노력과 함께 규제개혁으로 일자리 자체를 확대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주장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