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교육은 임업후계자 선발 희망자와 산림경영희망자, 귀농·귀 산촌 및 소셜(SNS)교육 희망자, 산림경영과 홈쇼핑, 온라인 판매에 관심이 있는 경영인을 대상으로 이론과 실무교육을 했다.
교육은 첫날인 2일 우리나라 산촌정책소개(최병암 산림청 산림복지국장), 귀농 귀산 촌을 위한 집 만들기와 시골에서의 생활컨설팅, 농가주택의 부지구입 및 임지취득방법(김경래 OK시골대표), 임업 소득지원정책과 2018년 달라지는 지원정책(김학진 산림청 사무관), 임산물의 마케팅전략과 임산물의 전략적 마케팅전략(고태형 강남대 교수)의 특강이 진행됐다.
다음날인 3일 아침산책을 시작으로 임산물 카드뉴스 만들기, 메가넥스트와 임산물상품 홍보물 작성방법, 임산물 동영상 만들기와 임산물상품 동영상 만들기(전종현 메가넥스트 교수), 임업의 6차산업과 마케팅전략과 부가가치창출방안(백을선 전 임업진흥원 총괄본부장), 국내임업현황 및 임산물유통현황(유종석 한국산림경영인협회 전무), 홈쇼핑 및 온라인 입접방법(정재현 롯데홈쇼핑 매니저), 셋째 날 4일 여주 중부목재유통센터와 임산물 유통센터 현장견학 국산목재생산 및 유통현황과 임산물 가공 및 푸른 장터 운영현황(산림조합중앙회 김종태·어경수 센터장) 교육이 이어졌다.
교육 4일 차인 5일 임산물 SNS(구글) 활용하기, 임산물상품촬영 및 편집하기, 신품촬영 및 편집하기(이경종 하이퍼테크 대표), 임산물 블로그 홍보와 활용하기, 플러스 친구 상품 올리기, 임산물상품 카카오에 홍보하기(김미경 인천소셜서포터스 대표), SNS 모바일 홈페이지 만들기(이미영 자기경영연구소 대표), 산림의 미학, 산의 소유가치, 산의 자부심, 임업인의 가치관(박정희 한국산림경영인협회 수석부회장), 다드림 밴드 활용하기(임정규 한국임업진흥원 실장), 수료식 등 교육을 진행했다.
유종석 산림경영인협회 전무이사는 “임업인들이 고소득을 올릴 수 있는 제도와 소셜(SNS)교육프로그램이 중요하다”라며 “앞으로 양질의 산림경영 모델학교와 소셜(SNS)교육프로그램 교육을 통해 많은 정보와 지식을 습득한 임업인들이 고소득을 창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교육 이수자에게는 수료증 발급과 함께 임업후계자 선발을 위한 과정으로 인정(총 40시간 중 40시간), 귀농인 인증을 위한 과정으로 인정(총 100시간 중 40시간), 임업인 지원 자금대출 가능(대출한도 필요자금의 100% 이내) 등 혜택을 준다.
여주=류진동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