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경기 - 민선 7기 과제와 전망] 完. 살맛 나는 경기도

完. 살맛 나는 경기도

경기도의 청년들 삶이 갈수록 팍팍해지고 있다. 지난해 경기지역 청년 실업률은 10.5%로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았다. 2000년 대비 증가 폭은 6.6%p로 전국에서 가장 가파르다. 지역의 동력 역할을 하는 청년이 힘을 잃으면 지역 전체가 활력을 잃는다. 이 같은 어려운 시기에 지역 소비를 북돋고 지역소득의 역외 유출을 막는 지역경제 활성화도 중요한 과제다. 이에 이재명 경기도지사 당선인은 민선 7기 대변혁의 시기를 맞아 ‘살맛 나는 경기도’를 약속하고 나섰다. 일자리의 양적ㆍ질적 성장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해 생기를 불어 넣겠다는 복안이다.

 

우선 중장기적으로 공공정책을 통해 일자리를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시공사와 경기도일자리재단의 일자리 창출 기능을 강화한다. 경기도 공공기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도 약속했다. 아울러 재창업ㆍ재도전에 나서는 기업들을 적극 지원하고 사회적 일자리를 늘리며 공공성도 담보할 계획이다.

 

공공정책과 더불어 산업혁신도 추진,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 당선인은 4차 산업혁명 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해 새로운 산업을 육성하고 고용을 창출하겠다는 큰 틀의 목표를 밝힌 바 있다. 또 기술창업 혁신 플랫폼 구축, 대학이 보유한 신기술 사업화, 지속가능한 경기도형 스마트공장 모델 개발ㆍ확대, 스마트팜ㆍ친환경 바이오팜 조성, 친환경 미생물 농자재 지원 등을 공약으로 명시했다.

 

이와 함께 이 당선인은 계층별 맞춤형 일자리 확보도 제시했다. 그는 관련 정책으로 취업 대비 ‘청년준비공간’ 운영과 ‘장기현장 실습교육’ 프로젝트 진행, 여성 시간선택제 일자리 확대와 여성친화적 일자리 조성, 중장년 퇴직자 재교육ㆍ창업ㆍ일자리 지원 확대,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확대와 취업지원 강화 등을 약속했다.

 

특히 ‘지역화폐 유통을 통한 골목경제 활성화’는 이 당선인의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 중 핵심이다. 지역화폐는 일정 범위의 지역에서 물품, 서비스 등 재화를 교환할 때 통용되는 화폐다. 지역소득의 역외 유출을 감소시키고 지역 내 소비를 촉진하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당선인의 성남시장 시절 ‘성남사랑상품권’은 회수율 97.9%를 달성하며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끌었다.

 

이 당선인 측 관계자는 “더 많은 일자리, 더 좋은 일자리,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새로운 경기도가 앞장설 것”이라며 “공정과 정의, 경기 퍼스트, 평화시대 새로운 경기도, 대한민국 최고의 복지, 살맛 나는 경기도 등 민선 7기의 중점 과제들을 도민들이 잘 지켜봐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규태ㆍ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