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레이더_‘도내 최다’ 7명 후보 출격 양평군수] 이주민 대거 유입… 균열 보이는 ‘지역토박이’ 불패신화

전체 유권자 30% 이상이 이주민… 이번 선거 최대 변수 부상
투톱 정동균·한명현… 김승남·김덕수도 지지층 확고 예측불허

제목 없음-1 사본.JPG
이번 지방선거에서 양평지역 유권자들의 최대 관심은 최초의 지방정권 교체가 가능할 것인가에 쏠려 있다.

 

지난 20년 이상 양평은 보수의 텃밭이었다. 이 지역에서 내리 5선을 한 정병국 의원(바른미래당ㆍ여주ㆍ양평)과 민선 군수 3명은 모두 보수진영이었다. 민선 1기와 2기를 제외하곤 민주당은 군수후보조차 내지 못했다. 이같은 양평의 보수성향에 대해 일부에서는 한국전쟁 당시의 좌익에게 희생된 경험이 작용했다는 견해도 있다.

 

또 양평의 독특한 사회경제적 구조에서 그 원인을 찾는 분석도 있다. 즉 양평이 정치적으로 보수성향이 강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양평토박이들의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의지가 보수로 포장되었을 뿐이라는 것이다. 

이같은 주장을 하는 사람들은 역대선거에서 당보다는 기득권 유지가 우선되었다는 점을 꼽는다. 양평의 민선 군수를 지낸 민병채(1,2대), 한택수(3,4대), 김선교(4대 보궐, 5, 6대) 3명 모두 무소속으로 당시의 여당 후보를 꺾고 군수에 당선된 독특한 이력이 있다. 무소속 후보가 여당 후보를 꺾고 당선된 배후에는 소위‘양평토박이당’이라고 불리는 기득권유지 세력이 작용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번 선거에서는 양평 유권자의 지형이 과거와 크게 바뀌었다. 2007년 현 김선교 군수가 보궐선거를 통해 당선될 당시 6만 8천 명이던 유권자수는 5월 현재 9만 8천500명으로 약 3만 명이 늘어났다. 양평의 인구자연증가율은 제로에 가깝다는 점을 감안하면 늘어난 3만 명의 대부분이 이주민으로 채워졌다고 볼 수 있다.

 

이주민은 원주민 집단과는 다른 이해관계를 가진다. 이들의 소득활동은 서울이나 다른 도시에서 하고 양평에서는 거주만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소득활동 대부분을 양평에서 하는 원주민과의 전혀 다른 이해관계를 가진 유권자가 전체의 30% 이상을 차지한다는 점이 과거와는 다른 점이다.

 

이와 함께 기존 원주민 집단에서도 기득권 그룹은 늘 소수일 수밖에 없고, 소외된 그룹이 절대다수라는 점에서 원주민이면서도 기득권 대열에서 소외된 그룹이 어떤 선택을 할지가 관전 포인트다. 같은 보수계열인 바른미래당 김승남 후보나 무소속 김덕수 후보 또한 일정부분 확고한 지지층을 확보하고 있는 점도 변수다.

 

당초 ’한국당의 경선이 곧 본선’이라는 예측이 빗나가고 있음이 서서히 감지되고 있다. ’더 잘하겠다’와 ’바꿔보자’중에서 유권자들이 어느 편의 손을 들어줄지 양평의 민심은 요동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정동균 후보 측은 정부여당과의 원만한 협의로 양평의 숙원사업을 해결해가는 적임자가 바로 자신이라며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한강상수원보호구역, 군사보호구역 등 중첩된 규제로 양평에는 산업단지도 대학도 들어올 수 없는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선 힘있는 여당 군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이에 반해 자유한국당의 한명현 후보 측은 30년간 공직 생활 경험을 앞세워 초보군수의 불안감보다는 안정적인 군정유지가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다. 3선의 같은 당 김선교 현 군수의 치적들을 계승하고 더 나은 양평을 만들겠다는 의지다.

양평=장세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