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수원 아주대학교병원에서 산업, 학계, 연구기관, 병원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분산형 바이오헬스 빅데이터 사업단 출범식’을 했다고 밝혔다.
분산형 바이오헬스 빅데이터 사업은 병원마다 보관 중인 의료정보를 연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하는 것이다. 2020년까지 전국 39개 병원 5천만명분의 의료정보를 빅데이터로 구축해 환자별 맞춤 신약과 의료기기, 건강관리 서비스 개발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을 비롯해 삼성의료재단과 연세대학교의료원산단 등 39개 의료기관과 7개 기업이 참여하며, 사업비는 국비 40억원을 포함해 112억 원 규모다.
특히 개인 정부 유출 문제와 관련, 통계 분석결과만 제공하기 때문에 연구자가 개별 환자의 정보는 볼 수 없다는 설명이다.
예를 들어 ‘㉮병원의 고혈압약 처방비중은 A약 ○○%, B약 △△%이다. A약이 B약보다 신장질환 발생위험을 □□배 낮춤 등’과 같은 형태로 제공된다.
아울러 의료정보가 병원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각 병원의 정보를 공통 플랫폼을 통해 연결시킨 것이 특징이다. 병원과 사업단은 통계 분석결과를 제공하기 전 개인 정보가 포함됐는지 각각 검증할 계획이다.
출범식에 이어 포럼도 열렸다. 이날 포럼에서는 사업단장을 맡고 있는 박래웅 아주대의대 교수, 박유랑 연세대 의대 교수, 신상철 이원다이애그노믹스 대표, 김영인 눔 코리아 이사가 각각 발제자로 나서 바이오헬스 빅데이터와 이를 활용한 다양한 사업 동향과 전망을 조망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바이오헬스 빅데이터는 개인 정보의 충실한 보호와 데이터 활용 사이에 적절한 균형을 이룬 방식”이라면서 “이를 통해 바이오헬스산업의 혁신성장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송시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