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은 2014년에, 성남은 2016년에 환경교육도시를 선언했다. 이후 두 도시는 관련 조례를 신설 및 개정하고, 행정 조직에 환경교육팀을 신설하는 등 시민들을 대상으로 일상적인 환경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 환경교육을 통해 시민이 살기에 더 좋은 지역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펴고 있다.
그렇다면 왜 수도권의 대표적인 도시 두 곳인 수원과 성남은 환경교육도시를 선언했을까? 영어교육도시, 수학교육도시가 아닌 환경교육도시를 말이다. 아마도 이 두 도시의 의사결정자들은 도시의 장기적인 발전과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교육이 매우 중요하고, 교육 중에서도 환경교육이 핵심이라고 판단했을 것이다.
이런 결정은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개발 중심, 경제 중심의 발전 방향으로 보았을 때, 또 교육은 학교와 교육청이 알아서 할 문제라고 생각하는 일반적 인식에 비추어 보았을 때 매우 이례적인 결정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시민들이 미세먼지, 미세플라스틱, 폭염,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 문제들로 포위된 삶을 살아가게 된 현재 시점에서 보면 매우 시의 적절한 선택이었다고 판단된다. 경기도에서 개발이 가장 많이 진행된 지역이기도 한 이 두 도시는 개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환경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는 시민이 얼마나 많은지가 향후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핵심이 된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깨달았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을 통해 환경적으로 깨어있는 시민을 양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면에서 보면, 작년(2017년) 서울이 ‘환경학습도시’를 선언하면서 시민들이 스스로 환경에 대해 학습하는 문화를 만들겠다고 발표한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서울과 수원, 성남의 인구를 모두 합하면 우리나라 인구의 14에 달하기 때문에, 이제 지자체 차원에서 환경교육에 관심을 갖고 이를 통해 지금의 환경문제를 완화하고 지역의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겠다는 것은 하나의 흐름이 되어가고 있다.
경기도는 31개 시ㆍ군 복합체이고 각각의 지자체는 처해 있는 여건과 환경이 다르지만 장기적으로 시민의 삶이 행복한 발전을 이룩해야 한다는 공통의 목표를 갖고 있다. 이를 위해 환경교육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렇다면 31개 시ㆍ군 중 두 곳에서 먼저 시작한 환경교육이라는 흐름을 경기도 전체가 선택해 볼 수 있지 않을까? 경기도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환경교육도’를 선언해 보는 것이다(사실 충북은 이 목표를 종합계획에 포함하고 있다). 이미 두 곳의 환경교육도시를 품고 있으니 마음만 먹는다면 다른 도에 비해 일이 훨씬 수월할 것이다.
이제 돌아오는 6월 중순이면 지자체장을 새롭게 결정한다. 지역의 개발 이슈 못지않게 지속가능발전의 관점에서 시민에게 어떤 교육이 더 중요한지, 무엇이 시민의 삶을 더 행복하게 하는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한 분들이 선택받길 기대해 본다.
조성화 수원시기후변화체험교육관 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