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날씨에 대한 준비, 스마트한 기후 대응

▲
기후변화로 인해 위험기상의 강도와 빈도가 증가하면서 기상재해의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국지적인 강한 집중호우와 대설,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점점 대형화되는 추세일 뿐만 아니라, 강수량 부족으로 인한 봄철 가뭄이 빈번해지고 있다. 특히, 이상고온 현상으로 폭염과 열대야가 해마다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어 사회ㆍ경제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생태계까지 위협하고 있다.

 

지난해 봄철가뭄의 장기화에 따른 농가의 피해, 충청지역의 여름철 집중호우, 겨울철 지속된 한파에 따른 동파사고, 제주지역의 폭설 등 국내뿐 아니라, 지구촌 곳곳에서 극한기상에 따른 자연재해의 피해로 몸살을 앓고 있다. 미 대륙을 초토화시켰던 허리케인의 잇따른 발생, 동남아시아 지역의 홍수, 아프리카 지역의 가뭄 등이 이상기후에 대한 경고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의 글로벌 리스크 보고서(Global Risks Report)에서 글로벌 리더들이 2년 연속 ‘환경(environment)’을 가장 큰 위협으로 꼽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가 다양화되고 빈번해짐에 따라 세계기상기구(WMO,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는 2018년 세계기상의 날의 주제를 ‘날씨에 대한 준비, 스마트한 기후대응(weather-ready, climate-smart)’으로 선정했다.

 

먼저 ‘날씨에 대한 준비’에 대해서는 각국 기상청(NMHSs, National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s)과 협력하여 전 지구적으로 표준화된 ‘다중재해 조기경보시스템’ 구축을 계획했다.

 

다음으로 ‘스마트한 기후 대응’을 위해 기후서비스를 개발하고 기상ㆍ기후분야의 전문가와 학생 수를 늘리는 것을 계획했다. 또 과학 교육과정을 해당 지역의 현재와 미래에 맞게 재구성하고 스마트하게 대응하기 위한 효과적인 소통경로를 개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현명한 물 사용’ 으로는 해안범람, 홍수와 가뭄 등 극한 수문기상재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자원의 양과 질, 가변성, 가까운 미래 전망과 같은 수자원에 대한 모든 데이터가 필요하다. 그리고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물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지금, 물 사용에 관심을 기울여 WMO 회원국 각자 수문기상재해에 현명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기상재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선 기상, 기후, 물 현상에 대비해야 할 것이며 각국 기상청은 초단기예보부터 계절 및 장기 기후예측에 이르기까지 모든 기상 현상에 대해 정확하고 시의적절한 서비스를 이해하기 쉽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점점 극으로 치닫는 기후변화, 이로 인한 극한 기상재해에 대한 대응은 우리 생활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필수요소가 되었다. 이에 기상청은 각 지역의 지방청을 중심으로 기상재해 대응능력을 높이기 위해 지역에 맞는 기상서비스를 발굴하고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앞으로도 기후변화와 위험기상으로부터 안전한 내 지역을 만들기 위해, 기상재해 감소를 위한 세계기상기구의 제안에 맞춘 정책의 실현을 위해 더욱더 노력해 나갈 것이다.

 

남재철 기상청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