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이직률 격차가 사상 최대로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고용노동부의 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300인 미만 사업체인 중소기업의 이직률은 5.0%로 집계됐다. 이는 2012년(5.4%) 이후 5년 만에 최대다. 중소기업의 이직률은 2013년 4.8%, 2014년 4.9%, 2015년 4.4%로 하락추세였지만, 지난해 다시 5%대로 진입했다.
반면 지난해 300인 이상 사업체인 대기업의 이직률은 2.8%로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10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대기업의 이직률은 2011년 4.4% 정점을 찍은 후 꾸준히 하락해 2013년 3%대로 내려가고서 지난해 처음으로 2%대로 떨어졌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과 대기업간 이직률 격차는 2.2%p로 2010년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후 역대 최대로 벌어졌다. 중소기업과 대기업간 이직률 격차는 2010년 0.7%p에서 2012년 1.2%p, 2013∼2014년 1.7%p까지 벌어졌다가 이번에 처음 2%p 이상으로 확대됐다.
지난해 중소기업 이직자 69만 5천339명 중 자발적 이직자는 39.7%인 27만 6천664명, 비자발적 이직자는 54.2%인 37만 7천145명으로, 비자발적 이직자 더 많았다.
경제전문가들은 청년일자리대책을 펴는 정부가 소득보전뿐만 아니라 근무환경과 기업문화 개선을 위한 중장기적 처방을 함께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권혁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