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가 연일 불어오면서, 안구 건강에 비상이 걸렸다. 봄이면 기승을 부리는 미세먼지와 황사는 호흡기 뿐만 아니라 안구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봄철, 주의해야할 안질환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이맘때 대표적인 안질환은 ‘결막염’이다. 결막염은 결막에 염증이 생긴 것을 말한다. 결막은 눈을 외부에서 감싸고 있는 조직으로, 눈의 흰자위인 구결막과 윗눈꺼풀을 뒤집거나 아래눈꺼풀을 당겼을 때 진한 분홍색으로 보이는 검결막으로 나뉜다.
원인에 따라 ‘감염성’과 ‘비감염성’으로 나뉜다. 감염성 결막염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균 등 여러 가지 병원균에 감염돼 발생하며, 비감염성 결막염은 외부 물질 즉, 황사나 미세먼지, 꽃가루 등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발생한다.
대체로 눈에 무엇인가 들어있는 이물감과, 가려움증, 눈곱, 눈물 등이 나타나며 심할경우 충혈, 결막부종, 결막하출혈 등을 호소하기도 한다. 요즘과 같은 날씨에 자주 발생하는 비감염성 결막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손을 자주 씻고, 눈을 만지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황사나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에는 보호안경을 착용하거나, 외출을 가급적 자제하는 것도 좋은 예방법이다.
다래끼도 결막염과 같이 봄철 자주 나타나는 안질환 중 하나다. 눈꺼풀에 있는 분비샘에 생긴 염증을 말하며, 눈꺼풀의 가장자리에 생기는 겉다래끼와 결막에 생기는 속다래끼가 있다. 겉다래끼는 염증이 부으면서 통증이 생기고 해당 부위가 단단해져 압통이 심해지고, 시간이 지나면서 염증에 의한 물질들이 피부로 배출된다. 속다래끼는 겉다래끼보다 깊이 위치하며, 결막에 노란 농양점이 나타난다. 염증 초기에는 눈꺼풀이 약간 불편하면서 누르면 미세한 통증이 있다가 점점 진행된다.
다래끼는 그냥 두어도 시간이 지나면서 저절로 좋아지지만, 통증이 있다면 더운 찜질을 해준는 것도 좋다. 염증이 저절로 배출되지 않을 때에는 병원을 찾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평소에 항상 손을 깨끗이 하고, 눈을 만져야 할 경우에는 손을 깨끗이 씻은 후에 만지도록 한다. 염증이 있으므로 술은 금한다.
안구건조증도 우습게 보면 안된다. 안구건조증은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이 지나치게 증발해 안구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말한다. 눈 시림과 동시에 이물감, 건조감 같은 자극증상을 느끼는 것이 특징이다. 눈이 쉽게 피로하고, 외출 시 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줄줄 흐르기도 한다.
안구건조증이 있을 때에는 장시간의 컴퓨터 작업이나 게임기 사용, 독서 등을 피하고 중간중간 적절한 휴식을 취해 준다. 특히 요즘과 같이 건조한 환절기에는 실내 습도를 위해 가습기를 틀어주고, 렌즈를 착용한다면 안경을 쓰는 것이 낫다.
송시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