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 성큼 다가왔다. 따뜻해진 날씨와 가벼워진 옷차림에 봄을 즐기는 것도 좋지만, 피부 건강에는 더욱 신경을 써야 할 때다. 황사, 미세먼지, 꽃가루는 물론 심한 일교차와 강한 자외선은 피부 손상의 주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봄철 피부건강을 지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봄이면 어김없이 불어오는 황사, 미세먼지, 꽃가루와 알레르기 물질 등은 피부를 민감하게 만든다. 여기에 따뜻해진 날씨로 닫혀있던 모공이 열리면서 피지 분비가 왕성해 진다. 이때 넓어진 모공에 민감성 물질들이 달라붙게 되고, 이로 인해 잦은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기도 한다.
김영태 피부과전문의(동탄 노블피부과 원장)는 “모공 속으로 침투한 오염 물질들은 여드름, 홍반 등 피부 트러블을 유발한다”면서 “외출했다 돌아오면 반드시 세안을 하고, 잘 씻기지 않는 황사와 미세먼지는 이중세안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과도한 이중세안은 피부장벽을 손상시켜 피부를 건조하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세안 후 충분한 보습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또 심한 일교차는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고, 각질을 유발한다. 이 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크럽 등을 이용해 각질을 제거하는데, 과도한 각질제거오히려 피부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김 원장은 “지나친 각질제거는 피부의 면역력과 저항력을 떨어트려 피부염을 유발한다”며 “알레르기, 트러블, 잔주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고 경고했다.
이에 “푸석푸석해진 피부에는 보습 뿐만 아니라 과로를 피해야한다”면서 “필수 미네랄과 비타민,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무엇보다 봄철에는 강한 자외선을 조심해야 한다. 봄철 자외선은 여름철 자외선 보다도 강하다. 표피만 그을리는 여름철 자외선B와 달리 봄철 자외선A는 진피 하부까지 깊숙하게 침투해 피부를 직접적으로 그을리기 때문이다.
김 원장은 “‘봄볕에는 며느리를 내보내고 가을볕에는 딸을 내보낸다’라는 말이 있듯 봄철 자외선은 피부에 상당히 좋지 않다”면서 “겨울철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증하는 자외선 광량 때문에 여러 광과민성 피부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특히 “강한 자외선은 탄력섬유와 콜라겐의 양을 감소시키고, 피부 탄력 저하와 기미와 잡티의 원인이 된다”고 말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평소 자외선 차단제를 꼼꼼히 자주 발라줘야 한다. 평소 기미나 잡티 등 피부 색소침착이 심하다면 전문의를 찾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김 원장은 “피부에도 봄을 주기 위해서는 적극적이고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며 “잦은 트러블과 색소침착은, 방치하지 말고 전문의의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송시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