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을 싸고 있는 얇은 막에서 염증이 생기는 병이다. 전신의 여러 관절들을 침범해서 적절히 치료를 하지 않는다면 결국 관절이 파괴가 되고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어린 아이부터 노인까지 누구에게나 걸리 수가 있는데, 대부분 30대~40대에 잘 발생한다. 여자 대 남자의 비율이 3:1 정도로 여성에게서 자주 발생한다. 발생하는 원인은 아직까지 밝혀지지가 않고 있으나,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과도 연관성이 있다고 의심되고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에 대해서 알아보자.
■ 원인
최근에는 유전적인 소인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감염원에 노출돼 나타나는 반응의 표현일 것이라는 가설이 제기가 되고 있다. 유전적인 소인의 증거들로는 일란성 쌍생아의 경우에 30~50%의 발생 일치율 또는 HLA-DR4, DRB1와의 연관성 등을 이야기 할 수 있다. 특정한 유형의 HLA- DR4를 가지고 있는 분들은 그렇지 않은 분들에 비해서 류마티스 관절염이 더욱 많이 발생하게 되고 경과도 더 심하다. 따라서 류마티스 관절염은 특정적인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분들에게서 관절에 대한 자가면역반응이 더 잘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가 되고 있다.
■ 증상
증상은 크게 ‘관절증상’과 ‘관절외증상’ 등 두 가지로 나뉜다. 관절증상으로 많이 발생하는 부위로는 몸 쪽 손과 발가락 뼈 사이 관절, 손허리손가락관절이나 발허리발가락관절이 초기에 자주 손상을 입는다.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든 관절 안에 잇는 활막에서 염증이 생기게 되면서 혈액내의 백혈구들의 관절로 모여들게 되며, 그 결과 관절액이 증가해 관절이 부으면서 통증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염증이 지속이 되면 염증성 활막 조직들이 점차 자라나면서 연골과 뼈를 파고들어 관절의 모양들이 변형되고, 관절들을 움직이는 데에 장애가 발생한다. 관절외증상은 피하 결절은 팔꿈치, 손가락, 치골, 아킬레스건 등에 나타나는 딱딱한 결절이다. 빈혈이 잘 동반되기도 하는데, 이는 질병의 활동도, 특히 관절의 염증 정도와 상관관계가 있다.
■ 생활가이드
류마티스 관절염의 발병을 예방할 수는 없지만, 전문의에 의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증상들을 완화하고 관절 변형을 줄여줄 수 있다. 체중의 증가는 환자들의 관절에 부담을 줄 수가 있기 때문에 체중이 증가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증상들이 악화됐을 땐 쉬는 시간을 늘려주고 염증이 가라 앉으면서 활동량을 늘려주는 게 좋다. 관절염이 심한 활동기에는 약한 운동을 하고, 염증이 가라앉으면서 근력을 강화하는 적극적인 운동들을 시행하면 된다. 무엇보다 예방이 어려운 질환이기 때문에 조기에 진단해 초기에 질병을 잡아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송시연기자
도움말 = 한국건강관리협회 경기지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