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도시화 비율이 매우 높다. 언론에 보도된 OECD 한국도시정책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도시화율은 85.4%(2010년 기준)로 OECD 34개 회원국 평균인 47.1%에 비해 월등히 높으며, 이는 일본의 76%나 미국의 84%를 넘어서는 것이다.
이렇게 도시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살다 보니, 이웃 도시간 크고 작은 갈등이 항상 발생하기 마련이다. 두 도시가 만나는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경우 길 건너편에 있는 학교에 아이를 보내지 못하고, 멀리 떨어진 자기 도시의 학교에 보내는 일도 벌어지고, 상수원 보호구역이 이웃 도시에 있는 경우 보존을 원하는 측과 해제를 원하는 측이 갈등을 벌이기도 한다. 옆 도시에 전기를 전달해 줄 송전선로가 우리 도시를 통과하는 것에 반대한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한다.
지방자치제도가 점점 뿌리를 내리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감안하면 앞으로 도시의 중요성은 더 커질 것이다. 그리고 성숙한 시민의식에 대한 요청도 그에 따라 높아질 것이다.
중요한 것은 성숙한 시민의식을 발휘하고 싶어도 시민들이 정확한 정보를 알아야 하고, 그 정보를 읽고 보고 생각하고 토론할 삶의 여유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시민들의 역할이 지방자치제도에서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지만 우리나라 시민들은 너무 바쁘다. 시에서 추진하는 주요 사업에 대한 설명회에 갈 시간도 없고, 시의 주요 정책에 대해 시민으로서 근거를 담아 의견을 개진할 시간은 더더욱 없다. 공무원들의 관점에서는 시민들이 바쁘니까 공무원들이 알아서 한다는 생각도 생길 법 하다.
갈등은 그 자체로 나쁜 것이 아니라, 갈등의 긍정적인 측면을 못 살린다거나, 부정적인 측면이 극대화될 때 나쁜 것이 된다. 갈등의 긍정적인 측면은 정책이나 사업에 대해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의견을 개진하고 아이디어를 모음으로써 정책이나 사업의 합리성이 높아진다는 데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이웃 도시간 상생을 한다는 것은 공무원들에게만 맡길 수는 없는 일이라는 것이 분명해진다. 우리가 사는 도시가 좀 더 살만한 곳이 되기 위해서는 이웃들과의 문제가 무엇인지, 그것을 어떻게 풀 수 있는지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그런 관심과 참여의 주체는 시민들이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 중에 하나는 주요 정책에 대해 시민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경기도는 근래에 군 공항 이전 문제, 화장장 문제, 쓰레기 처리장 문제 등 입지 문제 뿐 아니라 광역 버스 운행에 관한 문제, 미세먼지 문제, 복지 문제 등 정책적인 문제까지 시민들이 지혜를 모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아졌다.
특히 수원화성 군공항 이전처럼 지방자치단체가 서로 다른 입장을 가지는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이웃 도시들 간에 상시적인 협의 채널을 가지고 있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그래야 두 도시 간 관련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양 도시로부터 받은 더 정확한 정보에 기반을 두고 시민들이 판단을 내릴 수 있게 된다.
정확한 정보에 바탕을 둔 시민들의 의견은 단순한 여론과는 다르다. 지방자치단체가 정보를 제공하고, 시민들이 논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앞으로 점점 더 중요해질 것이다. 이런 바탕이 깔리지 않는다면 도시들 간의 상생은 어려워지고, 시민들은 자신들의 삶을 보다 낫게 바꿀 수 있는 기회에서 배제되기 쉬울 것이다.
전형준 단국대학교 조교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