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달라지는 건강검진제도…66세 넘으면 2년마다 치매 조기검사 받는다

우울증·골다공증 검사주기 확대
고혈압·당뇨 동네병원서 처방 가능

제목 없음-1 사본.jpg
2018년 국가건강검진이 확 바뀐다.

 

보건복지부는 2018년 1월부터 연령별 특성에 맞게 검진주기를 조정하고, 가까운 병ㆍ의원에서 확진검사를 받고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건강검진 제도를 개선해 시행할 예정이다.

 

특히 만 40~66세에 제공하던 ‘생애전환기건강진단’은 일반건강검진에 통합해 검진주기를 조정하고, 노인에게 필요한 검진항목은 확대한 것이 특징이다. 또 일부 검진 항목의 주기를 변경해 근거중심의 건강검진을 강화했다.

 

중년이후 유병률이 높은 우울증과 골다공증 검사주기를 확대하고, 이상지질혈증은 유병률과 적정 검진주기를 분석한 연구결과 및 전문분과 검토를 바탕으로 검진주기를 2년에서 4년으로 조정했다.

 

치매 조기진단을 위해 인지기능장애검사는 66세 이후부터 2년마다 실시하고, 노인신체기능 및 생활습관평가 등에 대해서도 검진주기를 확대했다.

 

아울러 건강검진결과 고협압ㆍ당뇨병 유소견자는 검진기관 뿐만 아니라 일반 병ㆍ의원에서도 본인부담금 없이 확진검사를 받고 바로 처방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검진기관에서 반드시 받아야 했던 2차 검진을 수검자가 자주 이용하는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받게되면서 수검자 편의성이 증가하고 신속한 치료가 가능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장애인들이 국가 건강검진을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장애인 건강검진기관’도 지정해 운영 할 예정이다.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 수어통역 및 편의지원을 위한 보조인력 등을 갖춘 국가검진기관을 대상으로 장애인 건강검진기관을 지정하며, 내년 10개소를 시작으로 2021년까지 총 100개소로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연령별 특성 및 근거를 기반으로 한 검진주기 조정을 통해 검진의 효과성을 높였다”면서 “고혈압 당뇨병 유소견자는 자주 이용하는 가까운 병ㆍ의원에서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어 수검자의 편의성이 향상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송시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