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0세 이하 청장년층의 일자리는 줄어든 반면, 50세 이상의 일자리는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임금근로자 5명 중 1명은 100만 원가량의 월급을 받는 등 일자리 양극화가 극명했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일자리 행정통계 결과’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일자리는 총 2천323만 개로 전년(2천301만 개)보다 22만 개 늘었다. 다만, 지난해 일자리 증가 폭은 산업 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전년(46만 개)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연령대별 일자리 분포를 보면 은퇴 이후 일자리를 찾는 고령층이 늘면서 50~60세 이상 일자리가 큰 폭으로 늘었다. 60세 이상 일자리는 전년보다 28만 개(10.7%) 늘었고, 50대는 16만 개(3.2%) 증가했다. 반면, 30대는 15만 개(-2.8%), 40대는 6만 개(-0.9%), 20대 이하는 2만 개(-0.5%) 줄어 청년층과 노년층 일자리의 증가 폭이 극명하게 갈렸다. 연령대별 일자리 분포를 보면 40대가 26.6%로 가장 많았고, 50대(22.9%), 30대(22.8%), 20대(14.2%), 60세 이상(12.4%) 등의 순이었다.
아울러 지난해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은 281만 원, 중위소득이 209만 원인 가운데 전체 20.1%가 중위소득의 50% 미만의 월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소득 105만 원 미만의 근로자가 전체 5명 가운데 1명꼴로 나타난 셈이다.
은희훈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고령층 일자리는 보수가 높지 않아 열악한 일자리가 늘어난 것으로 추정할 수 있고, 40세 이하는 고용시장 진입이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며 “일자리 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