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문화유산] 조선시대 관아 건물 ‘인천도호부청사’

▲
인천도호부청사(仁川都護府廳舍)는 인천 남구 관교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관아 건물로, 인천시 지정 유형문화재 1호다.

 

청사는 원래 15∼16동의 건물로 구성되었다고 전하나 현재는 객사(客舍)의 일부와 19세기 초 건물인 동헌(東軒) 및 훨씬 후대에 세워진 창고만이 남아 있다.

객사는 지붕기와에서 발견한 명문(銘文)에 의해서 1677년에 중수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나 1950년 현 문학초등학교를 세우면서 동헌과 함께 지금의 위치로 이전 개축하였기 때문에 당초 건물들의 배치·형태를 알 수가 없게 되었다.

 

현재는 양쪽 익랑채가 없어지고 박공지붕으로 된 중앙부의 정면 3칸 측면 2칸의 건물 일부만 남아 있다. 동헌은 합각지붕의 굴도리집으로서 관청 건물로는 드물게 부연을 달지 않은 홑처마지붕을 하고 있으며 기둥도 둥근 기둥이 아닌 네모기둥을 사용하고 있다. 문화재청 제공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