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말해 창의적 아이디어를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함으로써 대규모 제조업이 소멸되어 가는 시대에서 지역이 가진 문화와 특성, 역사적 배경을 사업화할 수 있다는 기대에 지역사회에서 문화축제의 형태로 성행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문화축제는 그 나라의 수도보다 지방도시 중심으로 개최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 즉, 각 도시별로 지역의 문화적 전통을 관광 상품화하고 이를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려는 노력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그 결과 전국적으로 지역축제가 약 800여 개 이상에 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자체별 2개 이상의 축제를 벌이고 있다는 말이다. 그러나 그런 축제가 과연 몇 개나 성공을 거두어 수익 창출을 하고 있는가는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우후죽순으로 생성된 지역 문화축제 중 성공을 거두고 있는 것은 손꼽을 지경이기 때문이다. 문화는 정신적 가치를 창조하는 인간 활동인 반면, 산업은 물질적 가치를 생산해서 판매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활동이다.
특정 지역이 육성할 문화사업의 선정은 먼저 교통편 등 입지성을 살펴 많은 사람들의 접근 가능성을 고려하고, 지역 내 성장가능성 및 고용기여도, 향후 발전가능성, 지역 내 전후방 산업연관 정도, 인적자본의 축적 정도 등을 고려해서 이루어져야 그나마 실패를 줄일 수 있다.
각 지자체별로 예산만 쏟아붓거나 일단 예산이 투입되어도 연속성이 없어 소멸되거나 별다른 효과를 볼 수 없는 애물단지가 되어버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 이유는 지역적 특성을 살리지 못하고 어디가 잘 되었다 하면 그것을 따라 하기 바쁘기 때문이다. 아쉽게도 문화사업은 따라 해서 성과가 나는 업종이 아니다.
물론, 성공적인 기반 시스템을 롤모델로 삼는 벤치마킹은 나름 효과를 볼 수도 있겠지만 그러나 개별 종목까지 무조건 따라가는 것은 바보 같은 짓이다.
개발 붐이 한창 일어나고 있는 대부분의 도시는 전통적 문화가 거의 파괴된 급조된 도시화로 인구 증가에 따른 녹지, 문화·예술, 여가시설 등 부족한 도시의 기능적 기반시설의 확충에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그 해결점을 도시의 특성에 맞는 문화사업에서 찾아야 한다. 문화사업은 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하고 희망을 불어넣어 주는 매개체이기 때문이다.
문화사업의 융성을 통해 도시의 분위기를 새롭게 하고 이미지를 높임으로써 도시의 가치를 업그레이드하는데 큰 역할을 기대해 본다. 끊임없이 변화하며 꿈틀거리는 도시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어 줄 수 있는 것이 바로 문화산업이다.
최무영 천사운동본부중앙회 본부장·이학박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