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니스코치’ 숨 닥터 정은채 박사 “영양·운동·정신 신체 3요소 다스려 건강하고 아름다운 삶 돕고 코치하죠”

%EC%A0%9C%EB%AA%A9%20%EC%97%86%EC%9D%8C-1%20%EC%82%AC%EB%B3%B8.jpg
누군가 내 건강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준다면? 건강하고 아름다운 삶을 살 수 있도록 삶의 방식을 안내하고 지원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웰니스코치’라는 다소 생소한 직업을 가지고 있는 정은채 박사를 만났다.

 

‘웰니스코치’는 젊은 층 위주의 헬스케어와는 달리 40대 이상의 웰니스케어를 위해, 개인의 건강상태·몸 상태에 맞는 컨설팅을 통해 영양·운동·정신 등 우리 몸에 필요한 신체 3요소의 기본을 다스려 항노화를 위한 코치활동을 말한다.

 

‘숨 닥터’로 불리는 정 박사를 통해 웰니스코치의 필요성 등에 대해 들어봤다.

 

Q. 웰니스코칭 교육을 하고 있는데, 웰니스코치가 필요한 이유가 무엇인지.

기존의 헬스케어는 주로 다이어트나 젊은 몸매관리 유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웰니스코칭은 기존의 헬스트레이너 개념과는 다르게 건강하고 아름답게 젊음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예방하는데 도움의 역할을 주는 헬스케어의 비서라 보면 된다.

 

한국에서는 아직 생소한 개념의 직업이지만 미국과 영국 등 선진국에서는 헬스트레이너의 개념이 바뀌어 웰빙의 개념으로 확산되고 있는 직업과 서비스이다.

 

기존의 헬스트레이너나 뷰티컨설턴트와 다른 점은 본인 스스로의 케어로 물리치료와 같이 간단하면서도 몸에 큰 변화를 가져다 줄 수 있다는 것이다. 40~60대 어르신을 위한 케어라고 보면 된다.

 

웰니스코칭은 생활습관 등의 개선를 위해 우리 몸이 기억할 수 있도록 몸의 움직임을 활용한 운동과 정신요법을 첫 번째로 한다. 그리고 심신의 안정과 신체리듬의 균형으로 우리 몸의 이완과 순환을 도와 에너지를 만들어 주게 된다. 웰니스코치는 미래 복지를 위한 바람직한 투자라고 할 수 있다.

 

서울 송파 이모작지원센터에서 중장년과 어르신을 위한 일자리복지와 건강케어를 위해 자원봉사를 하고 있는 교육장면
서울 송파 이모작지원센터에서 중장년과 어르신을 위한 일자리복지와 건강케어를 위해 자원봉사를 하고 있는 교육장면
Q. 대체의학 박사학위를 받았는데, 대체의학이 무엇이고 전공하게 된 이유는.

화장품 분야의 선두주자였던 고 김정원 원장이 어머니다.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호주로 건너가 자연의학이라는 과목을 접하게 되면서 몸과 피부, 정신과 신체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변화를 경험할 수 있었다.

 

박사학위 준비와 함께 제약회사·바이오회사에서 근무하며 암으로 돌아가신 아버지를 질병으로부터 지켜드리지 못했다는 죄책감 때문에 다른 사람을 위해 봉사하는 마음으로 살겠다는 목표를 정하고, 연구와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었다.

 

‘대체의학’은 ‘대체보완의학’이라고도 하며, 고대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각종 대체보완요법을 적용해 전인적이며 종합적으로 인체의 웰빙을 추구하며, 정신적 안정과 질병예방, 건강증진, 건강회복에 탁월한 효과를 가진 전인적 요법을 말한다.

 

최근 산업의 발전으로 각종 난치병과 현대병 등 약으로는 한계가 나타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거의 모든 분야에서 대체보완요법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웰빙산업, 비만관리, 피부관리, 미용성형, 한방, 휘트니스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분야이다.

 

Q. ‘숨 닥터’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무슨 의미인지.

‘숨’이란 우리가 음식물을 통해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방법 외에 우리 몸에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이다. 호흡을 통해 얻어지는 숨은 숨을 쉬는 방법과 움직임, 습관 하나만으로도 몸의 큰 변화를 가져다 줄수 있는 헬스케어이기도 하다. ‘숨 닥터’라고 불리는 이유는 제가 교육에 있어 가장 중요시 여기는 것이 숨, 호흡이기 때문이다. 몸의 움직임 방법과 자세에 따라 우리 몸이 느끼고 변화되는 것을 알 수가 있기 때문이다.

서울 송파이모작지원센터에서 웰니스코칭 교육을 받은 분들과 함께 한 정은채 박사(가운데)
서울 송파이모작지원센터에서 웰니스코칭 교육을 받은 분들과 함께 한 정은채 박사(가운데)

김재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