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일이 기사로 날 만큼 장애인에게 있어 취업 진입장벽은 여전히 높다. 2016년 장애인 경제활동실태 조사에 따르면 경기도 장애인 고용률은 39.5%에 불과하다. 2016년 경기도 고용률 61.5%에 비하면 턱없이 낮은 수치다.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탓에 여전히 고용을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일자리는 인간다운 삶의 실현과 빈곤예방을 위해 기본이 되는 아주 중요한 수단이다. 더 나아가 장애인에게 취업은 비장애인과 동등한 권리를 갖고 사회의 일원으로서 그들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는데 더 큰 의미가 있다. 이에 경기도에서는 취약계층인 장애인들의 자아실현과 자립생활 활성화를 위해 장애인 일자리 사업추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첫째, 2015년부터 전국 최초로 장애인택시운전원 양성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면허 취득 비용과 택시회사 면접 등의 취업을 알선하고, 채용이 확정된 장애인에게는 운전연수와 보조기 설치, 그리고 수입 저조가 예상되는 운행 초기 5개월간은 사납금 일부를 지원한다. 현재까지 131명이 택시면허를 취득하고 이중 77명이 취업에 성공하는 높은 취업률을 달성했다. 연말까지 20여 명을 더 취업시킬 예정이며 취업자의 장기근속 유지를 위한 사후관리도 주력하고 있다.
둘째, 도내 2천785명의 장애인에게 공공일자리를 제공해주고 있다. 도서관 사서, 급식지원, 보육도우미 등의 복지일자리와 관공서 행정도우미, 시각장애인 안마사 일자리에 취업이 어려운 중증 장애인이 참여하고 있다. 특히 이번 추경에서는 심각한 청년 실업문제 해소를 위해 만 34세 미만의 장애인 청년만을 대상으로 하는 일자리를 신설, 160명이 추가 혜택을 보게 되었다.
셋째, 장애인 일자리를 활용한 민간기업 배치(인턴제)도 시범실시 중이다. 도는 22명의 공공일자리 참여자를 도내 14개 민간 기업에 1년간 인턴제 사원으로 배치하고 인턴 종료 후 정규직으로 전환시킬 계획이다. 이는 기업에 비용 부담 없이 장애인을 고용토록 함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고용을 확대하는 사업으로 2018년에는 50여 명 이상으로 대상자를 대폭 확대 추진할 예정이다.
넷째, 장애인 의무고용제 확대를 위해서도 적극 노력 중이다. 도는 최근 관련 조례를 개정, 도내 공공기관 등 3.2% 의무고용률 미달기관에 대해서는 고용률을 공표하고 공공기관 경영평가시 장애인 고용관련 지표를 반드시 반영토록 했다. 이 밖에 장애인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한 일자리 사업 확대를 위해 2018년에는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공모사업을 추진하고, 성과분석을 통해 특화 일자리 사업에 대해서는 개별사업으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장애인에게 최고의 복지는 일자리다. 자기 적성과 역량에 맞는 일자리가 있으면 당당히 사회구성원으로 주체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다. 장애인은 ‘틀림’이 아니라 ‘다름’일 뿐이라는 말이 있다. 경기도를 비롯한 행정기관과 기업이 사회적 변화를 주도하고 온 사회가 함께 적극적으로 동참할 때 장애인이 희망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많이 만들어질 것이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장벽 없는 경기도, 장애인이 즐겁게 일하는 행복한 경기도를 꿈꿔본다.
강윤구 경기도 사회적일자리과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