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근로자의 연봉은 평균 3천400만 원 수준이고, 6천600만 원 이상이면 상위 10%에 속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기업 정규직 근로자의 평균연봉은 중소기업 정규직보다 3천만 원이나 많아, 여전히 큰 기업 규모별 임금 격차를 드러냈다.
16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발표한 ‘2016년 임금근로자 연봉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근로자 1천544만 명의 지난해 평균 연봉은 3천387만 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2015년 3천281만 원보다 3.3%(106만 원) 오른 것이다. 전체 근로자를 100명으로 가정할 때 50번째에 해당하는 근로자의 연봉을 뜻하는 ‘중위연봉’은 2천623만 원이었다.
전체 근로자를 연봉 순으로 위에서부터 10%씩 잘랐을 때, 최상위 10%의 연봉 하한선은 6천607만 원, 상위 10~20%는 4천789만 원, 상위 20~30%는 3천776만 원, 상위 30~40%는 3천120만 원이었다. 전체 근로자 가운데 하위 60%는 평균연봉에 미치지 못할 정도로 소득 편중이 심한 셈이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근로자 300명 이상 대기업 정규직 근로자의 평균연봉은 6천521만 원이고, 중소기업 정규직은 3천493만 원으로 집계됐다. 대기업 정규직 대비 중소기업 정규직 연봉 비율은 53.6%로 여전히 격차가 컸는데, 2015년의 51.4%에 비해서는 소폭이나마 개선됐다.
연봉수준별 근로자 수 분포를 보면 2천만~4천만 원 미만 39%, 2천만 원 미만 33.8%로, 4천만 원 미만이 70%를 넘었다. 최하위 2천만 원 미만 근로자의 비중은 2015년의 36.5%에 비해 2.7% 줄었다. 최상위 1억 원 이상 근로자는 2.8%, 8천만 원~1억 원 미만은 3%였다.
조성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