텃밭농사는 자기가 먹을 것을 건강하게 길러보자는 개인적인 요구에서 시작하지만, 그 단순한 실천으로 방치된 옥상공간이 녹색식물들로 바뀌어 도시의 열섬화 현상을 저감시키고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절감한다. 여기에 함께 농사짓는 도시텃밭을 통해 공동체를 만들어주게 되고, 미래세대에게 농업·농촌에 대한 가치 확산과 올바른 식생활 문화를 전파하니, 도시농업을 실천하는 것만으로도 커다란 공익성을 만들어내게 되는 것이다.
지난 몇년간 도시농업은 국회에서 텃밭행사가 열릴 정도로 상당히 대중화되었다. 도시농업법이 2011년 제정된 이후 우리시의 도시농업은 하루가 다르게 성장해서 참여자수는 2010년 4천7백명에서 지난해 4만3천명으로 9배에 가깝게 증가했고, 텃밭면적은 2010년 2ha에서 16년 23ha로 8배 가까이 증가했다. 전국 또한 참여자수와 면적은 각 11배와 10배로 급격히 증가했다.
도시농업이 이렇게 단기간에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무엇보다 도시민들에게 인기있는 정책이라는 것을 들을 수 있다. 또한 도시농업은 지속가능발전도시를 위한 새로운 대안정책으로도 떠오르고 있다. 도시의 환경, 먹거리, 공동체, 교육 등 여러 방면에서 그 가치가 점점 부각되고 있다. 이웃나라 일본은 도시농업진흥기본법을 통해 시민농원이나 텃밭교육에 대한 지원에 대해 체계적인 정책을 만들어가고 있고, 미국은 커뮤니티가든을 통해 지역공동체와 먹거리를 통한 사회통합 정책까지 연결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시는 도시농업과 일반농업의 생산활동이 경합된다는 부정적인 인식의 해소와 옥상텃밭의 건축물 구조안전 등에 따른 관리자와의 갈등 등 현실적으로 개선해야 될 부분도 많다. 예산은 일반농업에 편중되어 있고 특히 과밀화된 도시에서 텃밭으로 활용할 공간 확보 등 쉬운 것만은 아니다.
캐나다의 벤쿠버는 도시농업 육성 유휴지 소유자가 인근주민에게 텃밭경작 허용시 세금면제 등 혜택을 준다. 빈 땅을 적절하게 활용하면서 도시텃밭을 늘릴 수 있는 방안이다. 최근에는 우리나라도 공원을 조성하면서 일부를 텃밭으로 만들어 시민들이 참여하고 또 아이들의 교육체험공간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체험공간을 더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시개발법에 따른 도시개발사업시 일정부분 도시텃밭 조성공간을 마련토록 하는 법제화가 필요하다.
도시농업을 농사에만 한정하지 말자. 텃밭은 도시민들의 쉼터이면서 교육의 공간이고 도시생태의 다양성을 높여주는 오아시스이다. 무엇보다 지역의 시민들이 모이는 중요한 공간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도시양봉을 주목하고 있다. 꿀벌의 활동이 우리가 먹는 음식을 열리게 하고 꿀도 만들어낸다. 인천공항을 통해 세계인들이 인천으로 날아오듯이 꿀벌들이 인천의 도시생태계를 위해 하늘길을 열듯 모든 길은 인천으로 통할 것이다.
한태호 인천광역시 농축산유통과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