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에코붐(Echo-boom) 세대’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취업 시장에 뛰어드는 가운데 추가경정예산안(추경) 등 재정이 고용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1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앞으로 에코붐 세대의 고용시장 진입과 맞물려 청년 구직난이 심화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에코붐 세대는 1991∼1996년생을 의미한다. 1차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자녀 세대인 1979∼1985년생 에코세대에 이어 새롭게 등장한 2차 에코세대인 셈이다. 이들 세대는 올해부터 대학을 졸업해 본격적으로 취업 시장에 뛰어드는 나이가 된다.
기재부가 통계청 장례인구추계 및 고용동향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지난해 25∼29세 청년층 인구는 328만 2천 명이며, 취업자는 232만 9천 명으로 부족한 일자리는 95만 3천 개 수준으로 나타났다. 25∼29세 청년층 인구는 올해 337만 7천 명으로 전년 대비 9만 5천 명 가량 껑충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고용시장이 개선되지 않아 청년층 일자리가 증가하지 않으면 부족한 일자리는 104만 8천 개로 100만 개를 넘어서게 되는 것이다.
청년층 인구는 2018년 348만 7천 명, 2019년 357만 명, 2020년 362만 5천 명, 2021년 367만 명으로 정점을 찍고서 2022년 363만 2천 명, 2023년 356만 7천 명 등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청년 일자리 규모가 확대되지 않으면 청년층 미취업 규모는 2018년 115만 8천 명, 2019년 124만 1천 명, 2020년 129만 6천 명, 2021년 134만 1천 명까지 늘어날 우려가 있다는 설명이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취임 전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답변서에서 “최근 일자리는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질적으로 취약한 상황”이라며 “인구 구조상 에코붐 세대가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앞으로 4∼5년간 청년 고용여건이 매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