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용직 근로자 등을 뺀 우리나라 ‘월급쟁이’의 세전 평균 월급이 329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남성은 여성보다 약 1.7배 월급을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나 세계 최고 수준의 남녀 임금 격차를 여실히 드러냈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일자리 행정통계를 통해 본 임금근로일자리별 소득(보수) 분포 분석’(일자리 소득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 월급쟁이의 평균 소득은 329만 원, 중위소득(전체 소득을 한 줄로 세웠을 때 맨 가운데에 해당하는 값)은 이보다 88만 원 적은 241만 원으로 집계됐다.
소득구간별로 보면 150만 원 이상 250만 원 미만이 28.4%로 가장 비중이 컸다. 이어 85만 원 이상 150만 원 미만이 19.4%, 250만 원 이상 350만 원 미만이 16.6%로 나타났다. 85만 원 미만은 4.0%였으며, 650만 원 이상은 8.6%에 달해 대조를 이뤘다.
이번 일자리 소득분석은 2015년을 기준으로 직장 건강보험, 국민연금(사업장), 직역연금(군인·사학연금 등)에 가입된 1천500만 개 일자리의 소득과 성별, 연령, 산업에 따른 소득 차이를 분석했다. 근속기간, 연령 등에 따른 분류가 가능하고, 중위소득과 평균소득, 소득 분포상황이 함께 제시돼 국내 일자리 질의 전체적인 그림을 그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자리 소득분석을 보면 성별에 따른 임금격차도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남성의 중위 소득은 300만 원이었지만 여성의 중위소득은 179만 원에 머물렀다. 남성의 60% 수준이다. 남성의 경우 250만 원 미만 일자리가 39% 정도였던데 반해 여성의 경우 같은 소득 수준의 일자리가 70.6%를 차지했다. 반대로 650만 원 이상 고소득 일자리에는 남성 12.3%가 몰려 있었지만 여성의 고소득 일자리는 3%에 그쳤다.
업종별로 보면 금융·보험업 종사자의 평균 월 소득이 숙박 및 음식점업 종사자 소득의 3배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기준 금융 및 보험업 종사자의 평균 월 소득은 578만 원으로 전체 업종 중 가장 높았다.
조성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