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직도 5년차 넘으면 어렵다… 인사담당자 91.9% 5년이하 선호

경력직 채용이 활발히 진행되는 가운데, 기업들은 경력 3년차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취업포털 ‘사람인’에 따르면 최근 기업 인사담당자 239명을 대상으로 ‘선호하는 경력직’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3년차를 꼽은 응답자가 전체의 41.8%로 가장 많았다.

 

이어 5년차가 23.4%로 뒤를 이었고 ▲2년차(15.9%) ▲4년차(5.4%) ▲ 1년차(5.4%) ▲ 7년차(2.9%) ▲6년차(2.1%) 등으로 나타났다. 전체의 91.9%가 5년차 이하 경력직을 원하는 셈이다. 선호하는 최소 근속연수도 ‘3년’이라는 응답이 전체의 42.3%로 가장 많다. 2년(27.6%)과 5년(15.9%)이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근속연수가 지나치게 짧은 것에 대해서는 대체로 부정적인 평가를 했다.

‘짧은 근속연수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는 응답이 전체의 79.5%로 집계돼 ‘아니다’라는 응답(20.5%)보다 4배가량 많았다. 특히 이 가운데 44.2%는 업무 능력 등 다른 조건이 뛰어나도 근속연수가 짧다는 이유로 탈락시킨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근속연수가 짧은 데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쉽게 이직할 것 같아서’(81.6%, 복수응답)가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책임감이 부족할 것 같아서’(37.9%), ‘조직 적응이 힘들 것 같아서’(28.9%), ‘인내심이 부족할 것 같아서’(28.9%) 등의 순으로 답했다. 

경력직 채용 방식으로는 ‘수시채용 공고’(68.2%,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고, 업계 인맥(24.7%)과 사내 추천(14.2%), 취업포털 DB(12.1%) 등으로 나타났다. 채용 때 중점적으로 평가하는 항목은 ‘실무면접’(32.2%)이 첫 번째로 꼽혔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