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알코올중독 치료를 받던 40대 남녀가 술을 마시다 여성 A씨(44)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두 사람은 전북 김제의 한 병원에서 만나 친분을 쌓았던 사이로 “죽을 때까지 마셔보자”는 남성 B씨(41)의 제안에 강원도 여행을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이 출동할 당시 발견한 술병은 360㎖ 소주 32병과 1.8ℓ짜리 소주 6병에 달했다. 360㎖ 소주병으로 치면 62병을 마신 셈이다. 경찰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부검을 의뢰한 결과 타살 혐의점은 없으며 술 때문에 장기가 심하게 손상됐다는 소견을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 사건을 계기로 알코올중독에 대한 경각심과 치료의 이해도를 높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보건복지부 지정 알코올 질환 전문 다사랑중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허성태 원장은 “이번 사건은 자기 파괴적 행동으로 죽음까지 이르게 만드는 알코올중독의 폐해와 치료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단편적 사례”라며 “단지 여자가 ‘죽을 때까지’ 술을 마셨다는 이유로 혀를 차거나 비난할 문제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알코올중독은 음주에 대한 조절능력을 상실한 뇌의 질환이다. 중독 상태에 이르게 되면 술로 인해 신체만 망가지는 것이 아니라 뇌의 구조 변화도 함께 일어난다. 그래서 치료 시기가 늦어질수록 회복이 어렵고 스스로의 의지만으로 술을 끊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허 원장은 “알코올에 중독된 뇌는 끊임없이 술에 대한 갈망을 부추기고 술을 마실 구실과 핑계를 만들어 낸다”며 “단순히 술과 격리시킨다면 퇴원 후 재음주를 하게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평생 술을 마시지 않고 살아가는 방법을 배우는 전문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알코올중독의 특성상 자신의 음주 문제를 자각하거나 쉽게 받아들이지 못한다는데 있다. 허성태 원장은 “환자 대부분이 술을 마시는 이유를 남의 탓으로 돌리거나 ‘나는 문제없다’며 부정하고 합리화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치료적 개입이 필요하다”며 “무엇보다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알코올에 더 취약한 반면 사회적 편견과 냉대로 자신의 음주 문제를 숨기는 경향이 있어 주변의 관심과 도움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여성은 위점막 알코올 분해효소(ADH)가 남성보다 적어 알코올의 흡수 비율이 높다. 또한 체지방 비율은 높은 반면 수분 비율이 낮아서 혈중 알코올의 농도가 훨씬 더 높게 나타난다.
허 원장은 “여성은 선천적인 차이로 남성에 비해 알코올 의존이 빠르게 진행되고 신체적 질환도 훨씬 빨리 악화된다”며 “이번 사건처럼 같은 양의 술을 마셨더라도 사망에 이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우려했다.
이어 “알코올중독은 술을 즐겨 마시는 누구나 걸릴 수 있는 질환으로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회복도 가능한 질병”이라며 “특히 여성의 경우 정서적인 문제를 술로 해결하는 경향이 높으므로 여성의 심리를 고려한 전문 치료를 병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의왕=임진흥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