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화땐 축농증·중이염 등 유발
이불 자주 세탁·적절한 습도 유지
알레르기성 비염은 이제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이다.
2015년 건강보험통계연보에 따르면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626만 8천647명으로 국민 10명 중 1.3명이 알레르기 비염환자인 것으로 드러났다.
알레르기성 비염의 대표 증상은 계속되는 재채기, 계속 흐르는 맑은 콧물, 코막힘, 가려움증이다. 코감기는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발열 증상을 동반하며 증상 기간이 짧지만 알레르기성 비염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이 원인이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유전과 환경 요인이 있다. 부모 양쪽이 알레르기 질환을 가진 경우 자녀에게 같은 질환이 나타날 가능성이 75%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후변화와 대기오염, 진드기, 스트레스 등 환경 요인을 주된 원인으로 파악하고 있다. 급격한 온도 변화가 있는 환절기에 증세가 심해지는 것도 특징이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만성화되면 코막힘이 남아 축농증, 코 물혹, 중이염, 수면장애, 천식을 유발한다. 또 소아는 골발육이상과 치아부정교합까지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예방을 위해서는 매일 사용하는 이불, 베개, 카펫의 먼지와 진드기를 제거하고 자주 세탁해야 한다. 미세먼지나 황사가 있는 날은 외출을 삼가거나 필터 마스크를 착용한다. 생리식염수로 코 안을 세척하는 것도 좋다.
건조함은 비염을 악화시키므로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고 적절한 습도를 유지해야 한다. 장은 몸의 면역력의 70%를 담당하기 때문에 유산균을 섭취하고 균형잡힌 식습관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한국건강관리협회 관계자는 “비타민 B,C가 풍부한 감자와 비타민 B와 필수 아미노산, 아놀레산이 풍부한 검은콩이 면역력 향상에 좋다”며 “미나리는 식욕 증진, 해독작용이 뛰어나 알레르기성 비염이 발생했을 때 바로 도움이 되는 식품”이라고 조언했다.
손의연기자
자료제공 : 한국건강관리협회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