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집계, 지난해 16만1천명
3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비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육아ㆍ가사노동을 하는 남성은 16만1천 명으로 집계됐다. 2010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이 가운데 가사활동을 하는 남성은 15만4천 명, 육아에 전념하는 남성이 7천 명이다. 미취학 아동을 돌보기 위해 집에 있을 때는 ‘육아’로, 초등학교 이상 자녀를 돌보며 가사를 함께 할 때는 ‘가사’로 분류된다. 육아나 가사에 전념하는 남성은 지난 2010년 16만1천 명까지 증가했다가 2011년엔 14만7천 명, 2014년에는 13만 명 선으로 줄었다.
하지만 지난 2015년에 15만 명으로 반등하고 나서 지난해 다시 최고치까지 치솟았다. 특히 가사활동을 하는 남성은 지난 2012년 14만2천 명에서 2015년 12만2천 명까지 감소했다가 지난해 15만4천 명으로 늘며 이 같은 증가세를 이끌었다.
이러한 추세는 전통적인 남녀 역할에 대한 사회인식 변화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남성보다 높은 수익을 올리는 전문직 여성이 증가하고 육아ㆍ가사 등에 대한 남성의 참가도 확대되는 추세 때문이다.
여성 전업주부는 지난 2013년 729만8천 명에 이르다가 2014년에 714만3천 명, 2015년에 708만5천 명, 지난해엔 704만3천 명까지 낮아졌다. 그럼에도 전업주부 가운데 남성의 비율은 여전히 2.1%에 불과한 수준이다.
정부는 부모가 차례로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두 번째 사용자의 3개월간 육아휴직 급여를 통상임금의 100%까지 지원하는 ‘아빠의 달’ 제도 도입 등을 통해 일ㆍ가정 양립을 지속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유선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