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에 불어닥친 고용절벽… 매출 상위 100대 기업까지 일자리 줄여

경기 한파로 국내 매출 상위 100대 기업까지 최근 1년 사이 일자리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최대 기업인 삼성의 계열사까지 인력구조조정 한파가 몰아쳐 청년 취업문 역시 좁아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와 재벌닷컴에 따르면 분기보고서상 매출 상위 100대 상장사 직원 수는 지난해 9월 말 현재 86만1천578명으로, 1년 전보다 7천132명, 0.8% 감소했다.

 

불황에 허덕인 조선업계는 말 그대로 직격탄을 맞았다. 현대중공업 3천373명, 삼성중공업 2천356명, 대우조선해양 1천147명 등 3대 대형 조선사에서만 6천876명이 한꺼번에 일자리를 잃었다. 매출 1위인 삼성전자의 인력 규모는 지난해 9월 말 기준 9만5천374명으로 1년 전보다 3천183명(3.2%) 감축했다. 

삼성물산은 1천810명(14.5%), 삼성SDI는 1천803명, 삼성전기는 1천311명, 삼성엔지니어링은 925명, 삼성SDS는 719명을 각각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 등 매출 100위권에 속하는 삼성 7개 계열사에서 1년 사이에 1만2천여명의 인력을 줄인 셈이다.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도 각각 244명(0.6%), 363명(1.1%)을 줄였고 포스코도 490명(2.8%)을 내보냈다.

 

반면 인력을 확충한 기업도 있었다. GS리테일은 4천449명에서 8천967명으로 1년 사이에 직원을 두 배 수준으로 확충했다. 현대자동차도 1년 전보다 1쳔764명(2.7%)을 더 채용했고 한국전력(739명), LG화학(1천130명), SK하이닉스(651명) 등도 직원을 더 늘렸다. 

하지만 저성장이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고용확충보다 감축을 선택하는 대기업이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청년 취업문 역시 갈수록 좁아질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실업자는 101만2천명으로 100만 명을 넘어섰다. 청년실업률은 9.8%로 역대 최고 기록을 갈아 치웠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