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체 일자리 2천319만5천개 60대이상 무려 7.9%↑ 50대 3.8%↑
20대 소폭상승… 30대 오히려 0.5%↓
불안한 고용 양산 사회초년생 방황 ‘근속기간 3년미만’ 전체 절반이상
7일 통계청이 작성한 ‘2015년 기준 일자리 행정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일자리는 총 2319만5천개로 전년보다 48만6천개(2.1%) 증가했다. 2014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같은 근로자가 점유한 일자리인 ‘지속일자리’는 1562만2000개(67.4%)로 집계됐다.
퇴직·이직으로 인해 근로자가 바뀐 ‘대체 일자리’는 379만개(16.3%)였다. 기업체가 생기거나 사업확장으로 생긴 신규 일자리는 378만3천개(16.3%)다. 반면 지난해 사라진 ‘소멸일자리’는 329만7천개로 나타났다.
일자리는 주로 50대 이상에서 늘어났다. 60세 이상 일자리가 1년 전보다 22만1천개(7.9%) 늘어나 가장 많았고, 50대 이상도 19만6천개(3.8%) 늘어나는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20~30대 증가 폭은 미미하고 오히려 감소하기도 했다. 20대 일자리는 3만8천개(1.3%) 늘어났지만, 30대에선 오히려 2만5천개(0.5%)가 줄었다.
청년층의 일자리가 줄어든 것은 30대 인구가 줄어든 것도 있지만,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 것이 원인으로 풀이된다.
특히 근속기간이 3년도 채 되지 않은 근로자가 전체 근로자 중 절반 이상인 56.3%로, 20~30대 사회 초년생들이 안정된 일자리를 찾고자 직장을 여러 번 옮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근속기간 1~3년 미만인 경우가 28.2%(653만6천개)로 가장 많았고, 1년 미만이 28.1%(650만9천개)를 차지했다. 20년 이상 근속 일자리는 전체 중 6.4%(148만3천개)에 그쳤다. 일자리 점유율도 40대 이상 중장년층이 청년층보다 높았다. 40대가 27.0%로 가장 많고, 30대(23.3%), 50대(23.2%), 20대(13.0%), 60세 이상 (12.9%), 19세 이하(0.6%) 순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전체 일자리의 절반이 중소기업에서 창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0인 미만 중소업체 일자리는 50.6%를 차지했지만 300인 이상 대형 사업장의 일자리 비중은 32.7%에 그쳤다. 구직자들이 선호하는 대기업의 일자리 제공 능력이나 창출 능력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