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이상 취업자 1천만명 돌파…전체 취업자 10명 중 4명 꼴

제목 없음-2 사본.jpg
50대 이상 취업자가 1천만 명을 돌파한 가운데 전체 취업자 대비 비중도 40%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 전후에도 노후 준비를 위해 일터를 떠나지 못하는 중ㆍ장년층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21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50대 이상 취업자는 전년 동기 대비 27만2천 명 늘어난 1천8만1천 명으로 집계됐다. 

분기 기준으로 50대 이상 취업자가 1천만 명을 넘은 것은 사상 처음이다. 3분기에도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2만5천 명 증가한 1천21만1천 명으로 1천만 명 수준을 유지했다. 

지난 2006년 2분기에 649만4천 명, 3분기 649만3천 명 수준이던 50대 이상 취업자는 2008년 2분기(709만2천 명), 2011년 2분기(818만3천 명), 2013년 2분기(910만3천 명)에 각각 700~900만 명을 돌파했다.

 

세부적으로는 50대 취업자가 2006년 3분기 388만9천 명에서 올 3분기 612만6천 명으로 223만7천 명(57.5%) 늘었으며, 60대 이상은 260만4천 명에서 408만5천 명으로 148만1천 명(56.9%) 늘었다. 이처럼 취업자 증가폭이 크다 보니 전체 취업자 가운데 5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도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올해 3분기 50대 이상 취업자는 전체 38.5%였다. 10년 전인 2006년(27.9%)에 비해 10%p 이상 높아졌다.

 

이처럼 50대 이상 취업자 비중이 점점 커지는 것은 이 연령대 인구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9월 기준으로 50대 인구는 820만1천 명으로 지난해보다 11만3천 명 늘었고, 60세 이상은 996만9천 명으로 47만5천 명 늘었다. 

인구가 줄어든 30대(-8만8천 명), 40대(-5만6천 명)와는 대조적이다. 또 고령화로 인해 기대여명이 길어지면서 중ㆍ장년층이 노후 대비를 감안해 일터에 머무는 경우가 많아진 영향도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관계자는 “이번 정부 들어 2013년 하반기부터 2014년 상반기 전체 취업자 수가 빠르게 늘었는데, 그때부터 주로 증가한 연령대가 고령층”이라며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 준비를 하지 못해 50대 이상이 돼더라도 노동시장에 잔류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