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양은주교수, 유방암 림프절제술 후 림프부종 감시 프로그램의 림프부종 시행이 효과적

▲ 사본 -분당서울대병원%20재활의학과%20양은주%20교수[1]
▲ 분당서울대병원 양은주교수는 유방암 림프절제술 후 림프부종 감시 프로그램의 림프부종 시행이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양은주 교수는 유방암 액와(겨드랑이)림프절 절제술 후 ‘림프부종 감시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것이 진행성 림프부종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2008년에서 2015년까지 분당서울대병원에서 림프절 전절제술(암이 발생한 유방과 겨드랑이 아래 림프절까지 절제하는 수술)을 시행한 유방암 환자 총 707명을 대상으로 림프부종 감시 프로그램이 시행되기 전후 림프부종 발생률을 비교했다.

 

연구 결과, 유방암 수술 후 1년 내에는 3개월 간격 이내로 림프부종 관리를 시행하는 것이 중증도의 림프부종 진행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림프부종 3기 이상의 환자 누적 발생률이 대조군에서는 15.1% 발생한데 비해 감시 프로그램 시행군에서는 6.4%까지 낮아져 발생률이 10%나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양은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수술 직후 암의 재발을 검사하는 감시 뿐 아니라 암 치료 이후 발생하는 증상 및 기능 장애에 대한 관리, 림프부종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기 위한 기능 측면의 감시프로그램이 함께 적용될 때 림프부종을 예방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전했다.

 

현재 분당서울대병원은 림프절 전절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10일에서 2주 이내 림프부종 전문의와의 진료를 통해 림프부종 위험도에 대한 평가와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평가와 검사결과를 토대로 림프부종 단계에 맞춰 관련 교육과 치료를 진행하고 운동 시행 여부 및 강도를 지속적으로 추적 관찰해 유방암 수술 후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이나 후유증을 최소화 하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는 2016년 유방암 연구 및 치료 저널인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에 게재되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