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 현대산업개발, 대한항공 등 장애인 고용 나물라라
경기도교육청이 국가 및 지방단체 기관으로 도내에서는 유일하게 장애인 공무원 고용률이 극히 저조한 불명예를 안았다. 또 대기업 군에는 현대산업개발, 대한항공, GS건설, (주) 대우건설 등이, 금융기관으로 (주)하나금융투자, 신한생명보험(주), KEB하나은행, (주)우리은행이 불명예 대상 범주에 포함됐다.
고용노동부는 2015년 12월 기준으로 장애인 고용 실적이 현저히 낮은 국가·자치단체(8곳), 공공기관(11곳), 민간기업(571곳) 등 총 590곳의 명단을 24일 발표했다. 공표 대상은 장애인 공무원 고용률이 1.8% 미만이거나 장애인 근로자(비공무원)고용률이 1.35% 미만인 국가·자치단체, 장애인 고용률이 1.8% 미만인 공공기관, 1.35% 미만인 민간기업이다.
고용부는 지난해 12월 조사를 토대로 장애인 고용 저조 기관 1천82곳을 선정한 후 이들에 공표 대상임을 알려 장애인 의무고용을 이행토록 지도했다. 그 결과 492개 기관이 장애인 신규 채용 등에 나섰으나, 최종 공표 대상에 포함된 590곳은 끝내 장애인 고용을 확대하지 않았다.
우선, 14회 연속 장애인 의무고용인원을 채우지 못한 사업장으로 상시근로자 440명중 장애인 의무고용인원이 11명이나 한명도 채용하지 않은 지오다노를 비롯 엘브이엠에치코스메틱스(주), 에이에스엠엘코리아(주), 휴먼테크원 등 4개 사업장이 이름을 올렸다.
이어 국가·자치단체에서는 국회와 경기도교육청(의무고용수 2천772명 중 1천422명 채용, 고용률 1.45%) 등 7개 교육청이 포함됐다. 인천광역시교육청도 670명 의무고용수에 고용 인원이 301명에 그쳐 1.35%로 의무고용 인원을 채우지 못했다. 공공기관에서는 서울대병원, 국방과학연구소 등 주로 의료·연구개발(R&D) 기능을 수행하는 ‘기타 공공기관’이 포함됐다.
또 민간기업에서는 1천인 이상 기업 124곳이 포함되는 등 대기업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특히 사회적 책임 이행에 앞장서야 할 30대 그룹의 장애인 고용이 여전히 저조했다.
6개 그룹(삼성·롯데·한화·CJ·에쓰오일·동국제강)을 제외한 24개 그룹 계열사 53곳이 포함됐다. 한진(6곳)·GS(5곳) 순으로 포함된 계열사가 많았다. 장애인식 개선 교육, 장애인 교원 양성 등에 있어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할 교육 관련 기관도 다수 포함됐다. 장애인을 한 명도 고용하지 않은 곳도 39곳이나 있었다.
반면에 장애인 고용 노력으로 이번 공표 대상에서 제외된 기업도 눈에 띤다. SK하이닉스는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설립 협약 등의 방법으로 장애인 근로자를 채용, 이번 공표에서 제외됐다.
박성희 고용부 고령사회인력정책관은 “이번부터는 지방고용청 홈페이지에도 명단을 게시하는 등 공표의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라며 ‘내년부터 의무고용률이 상향되는 만큼 기업이 더 많은 장애인을 고용할 수 있도록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확대, 훈련 인프라 확충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장애인 고용 저조 기관 명단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www.moel.go.kr),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홈페이지(www.kead.or.kr), 관보 등에서 볼 수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