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ㆍ인천지역 고용 시장이 지난해에 이어 한파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경인지역 모두 지난해 1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실업률이 올해도 개선되지 않은 채 그대로 이어지면서 고용시장을 바짝 얼어붇게 하고 있다.
경인지방통계청이 12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도의 실업률은 3.7%를 기록해 전국 평균 3.6%보다 0.1% 높았다. 이는 지난해와 같은 수치로 2005년 9월(4.1%)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인천도 지난해와 같은 4.8%를 기록, 16개 시ㆍ도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전국의 평균 실업률은 3.6%로 2005년 9월(3.6%) 이후 가장 높았다. 이는 1년 전과 비교해 0.4%포인트 오른 수치로 청년층과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실업난이 심각한 현실을 보여줬다.
특히 15세부터 29세까지의 청년층 실업률은 9.4%로 1999년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경기 부진에 기업이 구조조정에 나서고 신규 채용을 줄인 것도 한몫 거들었다.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653만1천 명으로 1년 전과 비교해 26만7천 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난 6월 35만 4천 명을 기록했던 취업자 증가폭은 이로써 7월 20만 명대로 떨어진 이후 석 달째 30만 명대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제조업 일자리가 계속 줄고 있는 게 주된 이유로 꼽힌다.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7만6천 명(1.7%) 감소해 3개월 연속 뒷걸음질쳤다. 또 임금근로자는 17만8천 명 늘어난 1천964만6천 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고용계약이 1년 이상인 상용근로자는 29만3천 명 늘었지만, 계약 기간이 1년 미만인 임시근로자는 2만6천 명, 1개월 미만인 일용근로자는 8만9천 명 줄었다. 최근 감소세를 보여온 자영업자는 8만6천 명으로 8월7만9천 명 이후 2개월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성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