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내수기업 수출 물꼬 터준 ‘경기도 호주 통상촉진단’

극심한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경제성장을 위해 기댈 수 있는 것은 세계시장으로의 수출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산업구조상 대기업이나 일부를 제외한 중소기업 대부분이 자력으로 세계시장의 높은 문턱을 넘기란 쉽지 않다. 특히 정보와 인력이 부족한 초보기업이나 수출경험이 없는 중소기업은 더욱 그렇다.

 

수출을 처음 시작하는 우리 회사도 마찬가지였다. 우리 회사는 필름을 생산해 각종 친환경 식품포장용기를 공급하는, 업력 36년 차의 국내 토종기업이다. 내수 비중이 95%에 이르고 국내 PET시트 시장에서 매출 1위를 선점할 만큼 시장에서의 입지는 흔들림이 없어 보였다.

 

하지만 연이어 발생한 세월호와 메르스 사태로 국내시장이 위축되고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내수에만 전념했던 우리 회사는 적잖은 충격을 받았다. 더 이상 내수에만 전념할 수 없게 된 것이다. 회사의 활로를 개척하기 위해 수출로 방향을 전환했고, 지난해 하반기 해외사업부를 개설했다.

 

그리고 가장 먼저 정부에서 지원하는 해외마케팅 사업을 찾아보았다. 그 과정에서 경기도(국제통상과)가 주최하고 경기FTA센터가 주관하는 통상촉진단 사업을 알게 됐다. 이 사업에 지원, 선발되어 지난 3월 경기FTA센터를 통해 경기도 호주 통상촉진단 일원으로 시드니와 멜버른을 방문했다.

 

현지 바이어 상담은 도착 후 이틀째 되는 날 시작됐다. 바이어와 상담을 하면서 제품의 품질과 신뢰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우리 회사의 강점을 최대한 어필했고, 사전에 준비한 카탈로그와 동영상 등 참고자료를 이용해 제품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시간이 나면 바이어를 직접 찾아가 미팅하는 시간을 가졌고, 시장동향도 직접 눈으로 확인했다. 그러던 중 호주 바이어가 러브콜을 보내왔다. 우리 회사 제품의 품질 수준과 가격 경쟁력이 통했던 것이다. 먼저 13만 달러의 계약을 진행하여 납품까지 완료했고, 현재 추가계약도 목전에 두고 있다.

 

보통 통상촉진단에 여러 번 참가해도 계약까지 이어지기가 쉽지 않다. 그런데 처음 참가해 바로 계약까지 성사되었기에 정부지원사업의 도움받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경기도에서 실시하는 해외마케팅 사업인 통상촉진단 지원사업이 우리 같은 중소기업들의 수출 물꼬를 트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건 비단 우리 회사만이 아닐 것이다.

 

문제는 정부 지원 사업이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지만, 지자체마다 지원내용이 상이하고, 이러한 지원제도를 알고 실제로 활용하는 회사가 제한적이라는 데 있다. 많은 중소기업들이 내수경기 침체로 수출을 모색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움을 필요로 하는 회사들이 정부의 다양한 해외마케팅 지원제도를 최대한 활용해, 우리 회사처럼 수출초보 기업도 수출의 물꼬를 틀 수 있게 되길 희망해 본다.

 

백종두 케이피텍 대표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