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48.6%, 올해 신규채용 지난해보다 감소할 전망

대기업 2곳 중 1곳은 올해 신규채용 규모가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1일 발표한 ‘2016년 500대 기업 신규채용 계획’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신입과 경력을 포함한 신규채용 규모는 ‘작년보다 감소’(48.6%)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보다 12.8%p 오른 수치다. ‘작년과 비슷’(40.0%)하거나 ‘증가’(11.4%)할 것이라 답변한 기업은 절반을 겨우 넘겼다. 올해 대졸 신입채용 규모는 ‘작년과 비슷’(45.2%)하거나 ‘감소’(44.3%)할 것으로 보인다. ‘작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응답한 기업은 10.5%에 불과해 지난해보다 8.7%p 줄어든 반면 ‘작년보다 감소’한다는 응답은 6.1%p 늘었다.

 

기업들은 신규채용 축소 이유로 ‘국내외 경제 및 업종 경기 상황이 좋지 않아서’(52.0%), ‘회사의 내부 상황이 어려워서’(32.4%), ‘정년연장으로 퇴직자가 줄어 T/O가 부족해서’(9.8%) 등을 꼽았다. 반대로 신규채용을 늘리는 이유는 ‘경기 상황에 관계없이 인재확보 차원’(62.5%), ‘회사가 속한 업종의 경기상황이 좋거나 좋아질 전망이어서’(29.2%) 순이었다.

 

한편 기업들은 임금피크제 도입 여부에 대해서는 62.9%가 이미 도입했다고 답변했으며, 도입할 계획이 있는 곳이 21.0%, 도입계획이 없는 곳이 16.1%였다. 임금피크제 도입 계획이 없는 기업들은 ‘노조와의 합의가 어려움’(32.4%), ‘임금체계 개편 등으로 임금피크제가 불필요’(26.5%), ‘직무 전환 등 인사관리의 어려움’(17.6%), ‘장년 근로자의 조기퇴직 방지’(5.9%) 등을 이유로 들었다.

 

정부가 지난해 청년실업 문제 해소를 위해 새롭게 실시한 상생고용지원금 제도도 무용지물인 것으로 드러났다. 전체 기업의 85.2%가 제도를 이용한 적이 없다고 답변했고, 이용한 적이 있거나(6.2%) 신청 절차 중에 있는(8.6%) 기업은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들은 ‘자격 요건 및 관리 절차가 복잡해 신청을 포기’(31.3%)했다고 응답했으며 ‘임금피크제 도입 또는 임금체계 개편을 실시하지 못해서’(27.4%), ‘지원금이 적어 신규채용을 늘리기 어려워서’(15.6%), ‘제도가 실시 중인 것을 몰라서’(14.0%) 등이 뒤를 이었다.

 

송원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올해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과 중국 경기 둔화, 우리나라 조선ㆍ해운업 구조조정 등으로 국내외 경기가 어려워지면서 취업시장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정년을 연장한 기업은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거나 임금체계 개편을 의무화하고 정부는 청년고용 지원 정책의 실효성을 높여 청년 일자리를 늘릴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유병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