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뇨장애에 합병증까지… 전립선비대증 방치하면 큰 병 부른다

음주·잘못된 배뇨습관이 증상 악화
초기엔 약물치료로 대부분 호전
평소 정기적으로 진단 받아 예방을

40세 전·후로 시작돼 60~70대 이상의 남성 대부분에서 발생할 정도로 흔한 질병이 ‘전립선비대증’이다. 때문에 노화의 일종으로 여겨 방치하기 쉬운데, 방광기능 저하는 물론 전립선암의 초기 치료시기를 놓치게 될 수도 있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전립선은 남성에게만 있는 생식기관 중 하나로, 방광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요도를 둘러싸고 있다. 전립선 질환이 있으면 대부분 소변 줄기가 약해지거나 소변을 본 후에도 시원하지 않고 방광에 소변이 남아 있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전립선비대증 역시 발생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다가 시간이 지나 전립선이 커질 경우 요도를 막아 소변을 보는 데 문제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 윤문수 비뇨기과 윤 원장은 “소변을 너무 자주 보거나 소변을 잘 참지 못하는 증상이 있을 수 있고, 수면 중 소변이 마려워 잠을 깨는 증상도 있을 수 있다” 면서 “이러한 증상을 ‘하부요로 증상’이라고 하는데, 대부분이 전립선비대증으로 인한 경우”라고 말했다.

 

전립선비대증의 조직학적 변화는 35세부터 시작돼 60대 남자의 60%, 80대의 90%에서 유발되며, 이 가운데 50%의 환자군에서 전립선비대증으로 인한 여러 가지 배뇨장애 증상을 호소하며 치료를 받는다. 

▲ 윤문수 비뇨기과 원장
초기에는 주로 약물 치료를 하는데 대부분 호전을 보이지만 전립선의 크기가 매우 큰 경우나 약물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 또 전립선비대증에 의한 혈뇨, 급성 요폐 등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에는 수술이 불가피하다.

 

전립선비대증의 증상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는 과도한 음주와 잘못된 배뇨 습관을 들 수 있다. 소변을 지나치게 오래 참는 것은 방광의 기능을 떨어뜨려 심할 경우 소변을 못 보게 될 수도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이와 함께 외래를 찾는 많은 환자들이 궁금해 하는 것 중 하나가 전립선비대증이 전립선암으로 번지는가 하는 문제이다.

 

윤 원장은 “전립선비대증은 일종의 양성 종양이고 전립선암은 전립선 정상 세포가 암 세포로 변화해 생기는 것으로 근본 원인이 다르다”면서 “하지만 전립선비대증과 전립선암은 증상만으로 확연히 구분할 수 없는데다, 두 질환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는 만큼 정기적으로 전립선 진단을 받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자신의 전립선 건강에 대해 평소 관심을 가지고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도움말 = 윤문수 비뇨기과

류설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