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시중은행들이 채용계획을 확정하고 공고를 내면서 본격적인 금융권 입사전쟁이 시작됐다.
30일 은행권에 따르면 우리은행과 KB국민은행이 이미 채용공고를 낸 가운데 신한은행과 농협은행, KEB하나은행 등도 구체적인 채용계획을 확정하고 9월 중 채용공고를 낼 계획이다.
우리은행은 지난 29일부터 일반직과 IT분야 신입행원 모집에 들어갔다. 오는 9월28일까지 원서신청을 받으며 서류전형과 1차 면접, 인ㆍ적성 검사, 2차 면접을 거친 뒤 200여명의 최종 합격자를 선발한다. 특히 일반직의 경우 러시아어, 포르투갈어, 아랍어, 미얀마어 등 제3국 언어에 능통한 자를 우대하며 변호사와 공인회계사 등 전문 자격증 소지자 역시 우대 대상이다.
KB국민은행도 다음 달 12일까지 하반기 신입사원 원서 접수를 진행한다. 일반직과 IT직을 합쳐 모두 300명 상당의 신입사원을 모집하며 서류전형과 필기시험, 1ㆍ2차 면접 순으로 전형이 진행된다.
신한은행은 9월 중에 모집 공고를 내고 지난해 하반기와 비슷한 수준인 200명 규모의 신입사원을 채용할 예정이며, 농협은행도 농협금융 및 농협중앙회와 조율을 통해 채용을 진행할 계획이다. 농협은행은 일정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예년에 비춰볼 때 9월 중 채용에 들어갈 가능성이 크다.
KEB하나은행도 올해 대졸 신입사원을 채용한다. 애초 외환은행과 하나은행의 통합에 따른 인력재배치 이후 전형을 진행할 계획이었지만 재배치 작업이 순조롭고 통합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면서 신입사원을 좀 더 빨리 뽑기로 결정했다. KEB하나은행 관계자는 “구체적인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곧 채용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은행 관계자들은 서류전형 원서 작성 시 삶의 구체성을 자기소개서에 담아내는 게 유리하다고 강조했다. 채용담당자들이 자기소개서를 통해 지원자 삶의 모습들을 그려보며 영업과 서비스가 주 업무인 은행원으로 적합한 인재인지 판단하기 때문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무턱대고 지원서를 제출하기보다는 금융업과 은행에 대해 먼저 이해한 후, 이를 토대로 본인의 적성과 맞는지를 파악해 본인만의 진실한 이야기가 담긴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는 게 좋다”고 설명했다.
유병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