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우리나라) 취업자 1인당 연간 평균 노동시간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 가운데 2위에 이를 정도로 긴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OECD의 ‘2016 고용동향’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기준 국내 취업자 1인당 평균 노동시간은 2천113시간으로 OECD 회원국 34개국 평균(1천766시간)보다 347시간 많았다.
하루 법정 노동시간 8시간으로 나누면 한국 취업자는 OECD 평균보다 43일 더 일한 셈이 된다. 한달 평균 22일 일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OECD 평균보다 2개월 더 일한 셈이다.
한국 취업자의 지난해 평균 연간 실질임금은 구매력평가(PPP) 기준 3만3천110달러로, OECD평균(4만1천253달러)의 80% 수준이었다.
연간 실질임금을 노동시간으로 나눈 한국 취업자의 지난해 시간당 실질임금은 15.67달러로 OECD 회원국 평균 23.36달러의 3분의 2수준이었다.
국가별로는 동아시아권에서 한국처럼 장시간 근로로 악명 높은 일본의 취업자 1인당 연간 평균 노동시간은 1천719시간으로 한국보다 394시간 적었지만 연간 실질임금은 3만5천780달러, 시간당 실질임금은 20.81달러 등으로 각각 한국보다 각각 2천670달러, 5.14달러 더 많았다.
한국 취업자는 일본보다 49일, 2.2개월 더 일하는 셈이지만 연간 실질임금은 일본의 92.5%, 시간당 실질임금은 4분의 3 수준이었다.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연간 평균 노동시간이 적은 독일과의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독일 취업자의 연간 평균 노동시간은 1천371시간, 연간 평균 실질임금은 4만4천925달러, 시간당 실질임금은 32.77달러 등이었다.
한국 취업자는 독일 취업자보다 4.2개월 더 일하고 연간 평균 실질임금은 독일의 73%, 시간당 실질임금은 절반 수준이었다.
미국 취업자의 연간 평균 노동시간은 1천790시간, 연간 평균 실질임금은 5만8천714달러, 시간당 실질임금은 32.80달러 등이었다.
한국 취업자는 미국에 비해선 1.8개월 더 일하고, 연간 평균 실질임금은 56.4%, 시간 실질임금은 47.7% 등의 수준이었다.
OECD 회원국 중 연간 실질임금이 가장 높은 국가는 룩셈부르크(6만389달러), 미국(5만8천714달러), 스위스(5만8천389달러), 노르웨이(5만908달러), 네덜란드(5만670달러), 호주(5만167달러), 덴마크(5만24달러) 등의 순이었다.
반면, OECD 회원국 가운데 노동시간이 2천246시간으로 가장 긴 멕시코는 연간 실질임금이 1만4천867달러로 가장 낮았다.
경기일보 뉴스 댓글은 이용자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여론 형성과 원활한 이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은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경기일보 댓글 삭제 기준
1. 기사 내용이나 주제와 무관한 글
2. 특정 기관이나 상품을 광고·홍보하기 위한 글
3. 불량한, 또는 저속한 언어를 사용한 글
4. 타인에 대한 모욕, 비방, 비난 등이 포함된 글
5. 읽는 이로 하여금 수치심, 공포감, 혐오감 등을 느끼게 하는 글
6. 타인을 사칭하거나 아이디 도용, 차용 등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침해한 글
위의 내용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이거나 공익에 반하는 경우,
작성자의 동의없이 선 삭제조치 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