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가직무능력표준(NCS)를 확정ㆍ고시하면서 ‘스펙 위주 인재 채용’에서 ‘직무 능력 중심 인재 채용’로의 변화를 예고했지만 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지난 22일 24개 직업 분야에 대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확정ㆍ고시하면서 NCS가 법적 지위를 갖추고 공공기관 등에 도입되는 것이 유력해졌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일부 공공기관에서 어학 성적 등을 지원 자격으로 내세우며 행해지던 ‘스펙 중시’ 채용 현상이 사라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NCS는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ㆍ기술ㆍ태도 등의 내용을 국가가 체계화하고, 각 직무 별로 필요한 직업기초능력과 직업수행능력을 정하고 이 기준에 맞는 인재를 채용하는 방식이다. 고용노동부는 기존 직업교육이 산업 현장과 연관되지 못했던 ‘비효율적인 인력 운영’을 해소하기 위해 NCS를 개발했다. 정부도 NCS를 전문대학과 기업, 공공기관 교육 과정에 적극 적용하고 올해 230개 기관, 내년까지 321개 전 기관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하지만 정부의 이 같은 발표에도 불구하고 NCS가 제대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각 공공기관이 NCS 기반 채용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직무 별로 어떤 항목을 적용시킬지 직무 분석이 이뤄져야 하는 데다가 취업 준비생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심지어 지난해 이미 NCS를 도입한 한국전력공사는 여전히 채용 공고에 어학점수 하한선을 두면서 정부가 외치는 ‘스펙 타파’의 외침과는 평행선을 달리고 있어 제도 자체가 무용지물임을 반증하고 있다. 이외에도 한국시설안전공단 등 일부 공공기관 또한 어학점수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황이 이렇자 취업 준비생들은 물론 공공기관 인사담당자들까지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공공기관 취업을 준비하는 성훈태씨(27)는 “소문만 무성하던 NCS 도입이 확정되면서 준비해야 할 것이 오히려 늘어났다”면서 “이제는 고 스펙이 우대 사항이 아니라 오히려 기본 요건이 돼 버려 더욱 막막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 공공기관 관계자도 “지원자들로부터 자격 요건이 너무 까다롭다는 항의를 많이 받고 있다”며 “채용을 해야 하는 우리 입장에서도 준비해야 할 부분이 늘어난 셈”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NCS가 도입됐다고 해서 공공기관의 채용 과정을 한가지 유형으로 통일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다”면서 “각 기관별로 요구하는 최소 요건까지 일일이 관여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밝혔다.
유병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