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 김영호 교수팀 연구
선천적 왜소·과잉·매복치 12.3%
영구치 나오기 전 검진·치료해야
아주대병원 김영호 교수(치과병원장 겸 임상치의학대학원장)에 따르면 지난 5년간 교정 치료 환자 1천240명을 대상으로 방사선 검사를 실시한 결과 선천적으로 치아가 모자란 결손치 증상을 보인 환자가 152명으로 10명 중 1명꼴이었다.
크기가 작은 왜소치, 정상적인 치아 개수보다 더 많은 과잉치, 잇몸 뼈 안에 숨어 있는 매복치 등 치아에 이상이 있는 환자는 각각 33명, 18명, 53명이었다.
선천적 결손치는 전체 환자 중 12.3%(152명)로 치아 이상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결손의 빈도가 가장 높은 치아는 아래턱 앞니(하악 측절치)로 22.5%의 결손율을 보였는데, 이는 서구인에게 나타나지 않는 한국인 고유의 특성이다.(사진 1과 2). 또 아래턱 작은어금니(하악 제2소구치)와 위턱 작은어금니(상악 제2소구치)가 각각 20.3%, 18.5%로 결손율이 높았다.
결손치나 왜소치, 과잉치, 매복치 등 치아 이상을 방치하면 치열에 공간적으로 문제가 생기고 정상교합 형성을 방해하여 미용과 기능에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대부분 중등도 이상의 심각한 부정교합을 야기한다.
김영호 교수는 “치아 이상으로 발생하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아동기에 치과교정과를 찾아 방사선 검사 등을 통해 조기검진을 하는 것”이라며 “어린 자녀를 둔 부모는 자녀의 영구치가 나올 때까지 내버려두지 말고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시기에 꼭 치과교정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혹시나 있을지 모르는 치아 이상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기 바란다”고 조언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치과교정학계의 최고 권위지인 앵글교정학회지(Angle Orthodontist) 등 학술지에 논문 3편으로 정리 발표했다.
류설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