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철민 국회의원(안산상록을)은 10일 미래창조과학부 소관 ‘연구실 안전환경구축’ 사업에 대한 지난해 결산 결과 53억3천만원 예산 전액을 집행했지만 2008년 이후 지난해까지 대학 및 연구기관, 기업부설연구소 등에서 발생한 화재 및 폭발·누출 등 안전사고는 총 1천120건에 달해 매년 수십억원의 예산을 투입한 사업의 효과가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지난해 기준으로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의 적용 대상을 받는 연구기관은 4천779개에 연구실 수는 총 7만6천399건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으며, 2008년 이후 대학 내 연구실에서 총 996건, 연구기관 연구실에서 81건, 기업부설 연구실에서 43건 등 총 1천120건의 연구실 안전사고 가운데는 9건은 중대사고였다.
특히 기업부설 연구실에서 발생한 안전사고는 2013년 2건, 2014년 8건, 2015년 30건 등으로 나타나 최근에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어 정부의 연구실 안전환경 구축사업이 부실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기업부설 연구소의 안전사고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안전관리 예방을 위한 관리·감독이 강화 될 필요성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기업의 자발적 의사로 설립·운영되는 기업부설 연구소는 관계부처의 현장 점검이나 감사 등을 통해 관리되는 출연연구기관들이나 국·공립대학교의 연구실과는 달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 김 의원은 “앞으로 보다 적극적인 홍보강화 및 참여 활성화를 통한 인센티브 도입으로 우수연구실 인증을 확대하는 등 연구실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며 “또한 최근 안전사고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기업부설 연구소에 대한 관리·감독강화 방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