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프로야구 개막
2016 프로야구가 1일 오후 7시 인천 SK행복드림구장(SK 와이번스-kt wiz),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삼성 라이온즈-롯데 자이언츠), 서울 잠실구장(LG 트윈스-한화 이글스), 서울 고척 스카이돔(넥센 히어로즈-롯데 자이언츠), 경남 마산구장(NC 다이노스-KIA 타이거즈)에서 막을 올린다. 주말이나 공휴일이 아닌 금요일에 프로야구 개막전이 열리는 건 2007년 이후 9년 만이다. 개막을 기다린 야구팬들은 프로야구 시작과 함께 ‘불타는 금요일’을 즐긴다. 10개 구단은 이날부터 팀당 144경기, 총 720경기를 치르는 열전에 돌입한다. 대장정의 시작인 개막전은 야구팬을 향한 구단의 ‘첫 인사’다. 이 순간을 그리며 10개 구단 선수들은 겨우내 구슬땀을 흘렸다.
지난해 kt는 전국 팔도에서 올라온 사연 많은 미생(未生)이 많았다. 개막 11연패로 혹독한 신고식을 치러야 했던 것도 어쩌면 당연했을지 모른다. 아픔의 시간이 따랐지만 이들 미생은 하나 둘 완생(完生)으로 거듭났다. 투수 장시환이 그랬고, 내야수 박경수도 그랬다. 비록 최하위로 시즌을 마감했지만, 이들의 성장에는 많은 박수가 따랐다.
kt는 비시즌 동안 남부럽지 않은 구슬을 그러모았다. 넥센에서 유한준을 영입하고, LG로부터 이진영을 데려왔다. 베테랑을 수혈하면서 전력 강화에 성공한 kt를 가리켜 일각에서는 중위권 도약도 가능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조범현 kt 감독은 고개를 젓는다. 당장의 성적을 바라기에는 아직 미생이 많다는 이유에서다. 6인 선발 체제로 시즌을 시작하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 “국내 투수들이 어리고 경험이 없기 때문에 시즌 초반에는 무리시키지 않고 체력을 아껴주려고 한다” 조 감독의 말이다.
조 감독은 지난 28일 열린 미디어데이에서 올 시즌 목표로 ‘탈꼴찌’를 언급했다. 그러나 그가 진정 바라는 목표는 따로 있다. 여전히 많은 미생을 완생으로 이끌어 향후 기존 형님구단에 뒤처지지 않는 전력을 구축하는 것. 지난 2년 동안 그랬고, 올해도 그 연장선상이다.
조성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