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청소년의 건강은 대한민국의 미래다

01687589_P_0.jpg
지난해 11월 교육부는 제11차(2015년)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중고등학교 남학생의 11.9%, 여학생의 3.2%가 흡연을 하고 있다고 한다.

 

정부에서 담뱃세 인상 등 금연 정책을 강화하여 남학생은 2.1%P, 여학생은 0.8%P 흡연율이 감소하였다고는 하나, 아직도 상당수의 학생들이 흡연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청소년들은 왜 흡연을 할까? 학교생활 부적응, 진로에 대한 고민, 성적 스트레스 등이 그 이유일 것이다. 그런데 일부 청소년들은 흡연을 하면 어른스러워지고, 살이 빠지며, 키가 커진다는 속설을 믿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것은 전혀 근거 없는 속설로, 흡연은 체중을 줄이는 데 아무런 효과가 없으며 근골격계에 악영향을 미쳐서 오히려 정상적인 성장을 방해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이다.

특히 신체적으로 미성숙한 상태에 있는 16세 이하 청소년의 흡연은 성년 이후에 흡연을 하는 것보다 3배 이상의 악영향을 끼친다고 한다. 담배에 4천 가지 이상의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고, 그 중 250여 종의 물질은 암과 같은 중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지난 2014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우리 국민의 진료내용 및 건강관리 등에 대한 빅데이터를 근거로 국내에 시판된 담배회사를 상대로 하여 흡연으로 인한 진료비 약 530억원에 대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는데, 이 또한 흡연의 폐해를 일깨워주는 사례가 될 것이다.

 

정부는 흡연이 개인의 건강을 해칠 뿐 아니라, 국가의 역량도 저해한다는 인식하에, 담뱃세 인상, 공중파 TV방송을 통한 금연운동 전개, 금연구역 확대 등의 금연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청소년들은 단순한 호기심으로 또는 담배의 해악에 대해 잘 몰라서 흡연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일회성에 그치는 금연교육에서 벗어나 정기적인 금연교육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고, 전문가를 초청하여 흡연을 하지 않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사전금연교육에도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아울러 흡연을 하는 학생들에 대한 금연상담과 금연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관계당국에서는 학교주변의 절대정화구역 등 금연구역에 대한 흡연 단속을 강화하고, 이를 위반할 때는 반드시 적발하여 과태료를 부과하여야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청소년은 물론 국민 누구나 금연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진료비를 지원하고, 금연치료 의약품 및 금연보조제 구입비용도 70%까지 지원하고 있다. 금연에 실패했더라도 2회까지는 기회를 주고 있으며, 금연에 성공했을 때는 10만원 상당의 인센티브도 주고 있다. 금연을 시도하고 있는 사람들은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국민의 건강이 국가의 역량이라고 한다면, 청소년의 건강에 대한민국의 미래가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국가와 학교가 지혜를 모아 청소년을 흡연으로부터 지켜내야 할 것이다.

 

윤일경 이천교육지원청 교육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