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후죽순 ‘티칭 프로’ 자격증, 제대로 알자
대부분의 아마추어 골퍼들은 레슨 프로들이 모두 한국프로골프협회(KPGA)에 소속돼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KPGA에서 자격증을 받은 레슨 프로보다 국내ㆍ외 사설 기관에서 발급한 자격증을 소지한 티칭 프로들이 훨씬 많다.
지금은 티칭 프로 자격증이 남발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고, 티칭 프로 발급기관이 모두 사단법인이기 때문에 오해하는 부분도 없지 않다.
하지만 티칭 프로 자격증을 취득하는 사람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티칭을 통해 이익을 취하려는 것이기 때문에 부끄럽지 않은 실력을 갖춰야 한다.
티칭을 하다 보면 시범을 보여야 할 때가 많은데 실력을 갖추지 못했다면 자신과 수강생 모두 상당히 민망할 때가 종종 있다. 자격증의 문제가 아니라 티칭 프로는 프로정신이 더 요구되는 직업이기 때문이다. 국내에서 알려진 자격증과 취득방법을 소개한다.
■ USGTF(United States Golf Teachers Federation)
USGTF 프로가 2만명 정도임을 감안하면 한국 티칭 프로의 절반가량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USGTF는 선발전 참가비 25만원과 교육비 150만원 외에 최종 합격시 입회비 및 라이선스 발급비로 70만원을 추가로 내야 한다. 연회비 18만원을 포함하면 총 263만원이 든다.
■ WPGA(World PGA)
WPGA는 실기 테스트에서 35세 이하는 76타이하, 35~50세는 79타이하, 50세 이상은 81타 이하를 치면 된다. 두 달에 한 번꼴로 선발전을 하는 WPGA가 국내에서 발급한 프로 자격증만도 3천개 정도. WPGA는 자격증 발급까지 드는 비용이 총 251만원(선발전 참가비 25만원, 교육비 150만원, 입회금 50만원, 연회비 26만원)이다.
■ LPGA(클래스 A)
만 18세 이상, 고교 이상의 학력 소지자로, PAT를 합격하거나 현재 골프 관련 업계 종사자 및 예정자라면 누구나 응시가 가능하다, 18홀을 연령대에 따라 77타 ~ 84타에 들면 합격 할 수 있다. 골프에 대한 열정이 있다면 누구든 응시해 볼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 한국생활체육지도자협회 산하 골프지도자협회
165만원을 내고 6일간(총 39시간) 교육받으면 실기 테스트 없이 이론 시험과 간단한 스윙 테스트만으로 지도자 자격증(3급)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연간 4~5차례 기수 별로 선착순 30명씩을 모집한다.
■ 생활체육지도자 및 경기지도자
생활체육지도자는 1,2,3급으로 구분되며, 골프생체 3급은 9홀 기준 42타 내를 기록하면 합격한다. 경기지도자도 1, 2, 3급으로 구분되며, 이론과 실기를 교육 후 테스트를 거쳐 취득할 수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