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정부, 뷰티헬스 융복합 산업으로 활로 개척을

장태종.jpg
‘K-뷰티’라는 말이 유행이다. K-뷰티의 열풍이 중국을 시작으로 아시아를 넘어 중남미와 중동 등 전 세계로 향하고 있다. 뷰티 산업은 이미지와 브랜드에 따라 가치가 극대화되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며 고용유발 효과가 크다.

 

이는 중화권에서 불고 있는 ‘K뷰티’ 바람을 세계시장으로 확산시키겠다는 전략으로 풀이하면 된다.

 

그리고 식품의약안전처에 의하면 우리나라 화장품 생산실적은 2014년 8조9704억 원으로 전년 대비 12.5% 증가했으며, 수출은 18억7만 달러로 무려 전년보다 40% 증가했다. 그리하여 그 중 가장 많이 수출된 국가는 중국(5억4200만 달러), 이어 홍콩(4억5300만 달러), 일본(1억8800만 달러), 미국(1억2550만 달러), 대만(1689만 달러), 태국(7781만 달러) 순이었다.

 

이리하여 수출 성장률도 중국이 86.7%로 가장 높았으며, 홍콩도 69.7%나 증가했다. 두 나라의 수출 실적 점유율은 전체 실적의 절반 이상 54.8%이다. 게다가 화장품 유형별로는 기초화장용 제품이 5조929억 원(57.0%)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었고, 이어 색조화장용 1조4264억 원(16.5%), 두발용 1조347억 원(14.5%) 순으로 실적을 기록했다.

 

그리고 우리나라 글로벌 뷰티기업은 디지털 기술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여러가지 새로운 시도를 하는 중에 있다.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위해 IT 기업간의 제휴하고, 내부 연구진으로 데이터 분석 전문과학자 등을 활발히 영입하고 있다. 제품개발도 자체 연구소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중소형 기업 및 연구기관과의 파트너십을 상시적으로 탐색,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뷰티업계는 과거의 폐쇄적인 틀에서 벗어나 IT 등 다른 산업과 활발히 융합하면서 변화를 도모하고 있으며, 다른 배경을 가진 전문가들이 뷰티 비즈니스에 참여하면서 이런 변화는 더욱 촉진하고 있다.

 

정부가 화장품산업과 헬스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육성법을 빠른 시간안에 재개정해서 한류 바람을 타고 커지고 있는 수출 기회를 놓치지 않고, 산업의 내실을 키워나가야 한다. 그래서 공공기관으로 화장품과 헬스산업의 융복합화를 위해서 뷰티헬스산업진흥원을 설립하여, 뷰티헬스산업을 총괄하는 정책을 컨트롤할 수 있도록 추진해야 한다.

 

또 첨단기술 가로막는 기능성 화장품 인증제도와 주름개선·미백·자외선차단 등 세 가지만의 기능성 화장품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대표적인 불법 규제도 완전 철폐하여 성장세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예컨대, 국내외 제품개발 측면에서 디지털 기술들은 미용기기 같은 새로운 카테고리의 제품을 탄생시키거나 가상현실 체험, 슈퍼컴퓨팅 기술을 통해 ‘모형화’, ‘가상실험’을 제품개발의 핵심단계인 제품설계 단계에 도입해 가상화(Virtualization) 등을 통해 기존제품의 사용경험을 좀 더 풍부하게 하는 역할로 활용하고 있다.

 

아울러, 보건복지부는 독보적 기술력 확보를 위해서라지만 정부 연구개발(R&D)이 아모레퍼시픽 R&D보다 낫다는 보장도 없다. 오히려 정부가 R&D 지원을 빌미로 기업에 이런저런 간섭을 해대고 줄 세우기를 시작하면 그건 진흥이 아니라 되레 규제가 되기 십상이다.

 

21세기는 창조적 융합의 사회로 변하고 있다. 정부와 기업에서는 뷰티헬스 화장품, 장비들을 위한 마케팅 전략체계를 강화하고, 뷰티헬스 산업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참신한 아이디어와 디지털 기술로 무장한 새로운 제품, 사업모델 등을 통해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장태종 KISTI 책임연구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