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는 기존의 과학영재학교와는 달리 수학·과학 분야는 물론 인문·예술적 감수성까지 겸비하는 융합형 창의 인재를 양성하는 영재학교로 전국적으로 세종시에 이어 두 번째가 된다.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는 지난 2012년에 인천광역시와 인천시교육청에서 교육부의 공모 신청을 통해 유치되었다.
당시 인천광역시 영재학교 유치계획에 의하면 서울, 경기,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에는 과학영재학교가 운영되고 있었던 반면, 전국 6대 광역시 중 유일하게 인천에만 과학영재학교가 없었고, 이로 인해 인천지역의 인재들이 타 지역으로 유출이 심각한 상황으로 인천시는 판단, 명품교육도시 조성을 위하여 과학영재학교의 유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문제는 인천시가 2012년 10월 공모신청 마감에 임박하여 과학영재학교 운영을 위한 재정적 부담으로 연수구에 학교 운영비의 25%에 대한 지원을 요청했으며, 당시 불가피하게 이에 대한 협약서(MOU)가 체결된 것이다.
흔히 양해각서라고 하는 ‘MOU’는 구체적인 사업계획이나 예산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기관이나 단체 간에 맺는 일종의 약속이다. 그러나 필자는 과학영재학교 운영비가 32만 연수구민의 노력과 땀의 결실로 거둬들인 혈세로 지원되는 것인 만큼 이를 세심히 살펴보게 되었고, 여기서 나타난 비정상적인 부분을 바로잡기 위해 깊은 고민을 할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한번 생각해보자. 현재 연수구 관내에 소재한 초·중·고 57개교에 약 20억의 교육경비가 지원되고 있다. 이를 평균적으로 계산하면 한 학교에 3천5백여만원의 교육경비가 지원되는 셈이다.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의 올 한 해 운영비는 약 30억이며, 교육청에서는 연수구에 7억5천만원의 운영비 분담을 요구하고 있다. 3천5백만원 대 7억5천만원 한 개 학교에 지원되는 교육경비의 20배를 넘는 규모이며, 이 금액은 연수구 관내 57개교에 지원되는 전체 교육경비의 1/3을 초과하는 막대한 예산이다.
특히 심각한 문제는 지원기간이 올해에 끝나지 않고 학교가 운영되고 있는 한 지속적으로 매년 운영비를 지원해야 하며, 2018년부터는 10억 이상의 운영비를 부담해야 하는 데 있다. 영재학교가 소재하는 전국 6대 광역시 중 어느 곳도 기초자치단체에 운영비 부담을 요구하고 있는 곳이 없다.
이러한 특별한 상황에 대해 우리 연수구는 MOU 체결 당시부터 지속적으로 건의한 사항이 있었다. 만약 연수구에 계속적인 재정 부담이 되어야 한다면, 전국 단위 학생 선발에서 연수구 학생들에 대한 쿼터입학제가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는 내용이다.
필자는 서울 강남에 비교되는 연수구의 교육수준은 다른 어느 도시와 견주어도 결코 뒤지지 않는다고 자부한다. 보다 많은 연수구의 뛰어난 영재들이 세계적 교육 커리큘럼을 갖춘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에 입학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 이것이야말로 구민의 혈세로 녹을 먹고 있는 구청장으로서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이재호 인천 연수구청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