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기술인력 부족률 해마다 줄어들지만…
산업현장의 기술인력난은 해마다 개선되고 있지만, 중소기업의 인력난은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지난 9일 근로자 10인 이상 1만1천155개 표본업체를 대상으로 지난 6~9월 실시한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산업기술인력 부족 인원은 총 3만6천383명으로 지난해 대비 1천8명(2.7%) 줄었다. 산업인력 부족률 또한 2.3%를 기록해 전년보다 0.1%p 하락했다. 최근 3년간 산업인력 부족률을 보면 지난 2012년 2.6%에서 2013년 2.4% 등으로 해마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규모가 작은 수도권 기업일수록 인력난이 심각했다. 전체 부족인원의 95.4%(3만4천656명)는 500인 미만 사업체에 집중됐고, 부족률 또한 500인 미만 사업체는 3.0%인 반면 500인 이상 사업체는 0.4%에 불과했다. 특히 부족률 격차는 전년(5배)에 비해 약 7배 정도로 확대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부족인원의 54.7%를 차지했다.
이와 함께 조사대상 기업들은 산업기술인력 부족의 원인으로 ‘현장투입이 바로 가능한 숙련ㆍ경력 갖춘 인력이 없어서’(40.5%)를 꼽았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산업분야별, 규모별 인력수급 문제 해소를 위해 부족인력 원인조사 등을 병행해 향후 산업기술인력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관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